Understanding the Life Trajectories of Young Adults in Transition: Analysis of Transition Dynamics and Influential Variable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문길 |
dc.contributor.author | 김기태 |
dc.contributor.author | 최선영 |
dc.contributor.author | 우선희 |
dc.contributor.author | 김상배 |
dc.contributor.author | 노법래 |
dc.coverage.temporal | 2023-01-01 - 2023-12-31 |
dc.date.accessioned | 2024-08-20T07:57:05Z |
dc.date.available | 2024-08-20T07:57:05Z |
dc.date.issued | 2023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13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707 |
dc.description.abstract | 우리나라 청년들의 생애사의 양상은 짧은 기간에 큰 변화가 있었는데, 최근 코호트에서는 결혼과 출산 경험이 지연되고, 안정적 노동시장 이행이나 전업돌봄 유형이 줄어들면서 궤적의 다양성이 감소하는 패턴이 발견되었다. 성인으로의 이행 실태와 인식 조사에서는 전통적 성 역할 규범의 변화와 성별 인식 격차가 존재한다는 점, 가족돌봄보다 소득활동에서 더 큰 보람을 느끼는 경향, 성차별 의식에 성, 지역, 교육 수준별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성인됨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연령은 성인 여부 결정에 큰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점, 경제적 자립, 주거 분리 등의 우선순위, 경제적 자립-주거분리 이후 결혼 출산까지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 여성이 남성보다 이행 연령을 다소 높게 인식한다는 점, 경제적 자립, 주거독립, 결혼, 출산 등의 성인 이행을 완전히 수행하지 않는 ‘새로운 성인’의 출현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해외사례 검토 결과 사회안전망 수준에 따라 성인이행의 기간과 경로에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이 확인된다. 정책적으로, 성인이행의 완수를 위한 성 역할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대응이 필요하다는 점, 생애과정의 변화에 조응하는 방식으로 사회보장제도가 개편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e life histories of young people in South Korea have changed dramatically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recent cohorts showing a pattern of decreasing diversity in trajectories, with delayed marriage and childbearing experiences, less stable labor market transitions, and fewer types of full-time caregiving. The survey of transition to adulthood practices and perceptions found shifts in traditional gender role norms and gender awareness gaps, a tendency to find earning activities more rewarding than family caregiving, and gender, regional, and educational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sexism. The analysis of perceptions of adulthood found that age does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adulthood; prioritization of economic independence and residential separation; the need for more time between economic independence and residential separation and marriage and childbirth; women perceive the age of transition to be somewhat higher than men; and the emergence of “new adults” who do not fully fulfill the transition to adulthood, including economic independence, residential separation, marriage, and childbirth. A review of international case studies confirm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uration and pathways to adulthood depending on the level of social safety nets. At the policy level, this suggests that policy responses are needed to raise awareness of gender roles in the completion of adult transitions and that social security systems need to be reorganized in a way that is responsive to changes in the life cours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14 제2장 이론적 검토 19 제1절 이론적 자원 21 제2절 선행연구 검토 25 제3장 해외사례 검토 37 제1절 들어가며 39 제2절 유형화와 관련된 기존 연구문헌 43 제3절 이행기 특성과 관련되는 사회정책 배경 47 제4절 해외 청년세대 관련 주요 사회경제지표 70 제5절 소결 84 제4장 청년 생애사 이행 과정 분석 89 제1절 분석 개요 91 제2절 시퀀스 분석 결과 96 제3절 결합궤적 분석 결과: 노동과 행복의 성별 궤적 비교 116 제4절 소결 122 제5장 성인이행에 관한 실태와 인식 125 제1절 이행기 청년 실태와 인식 조사 127 제2절 청년의 일반 사회인식 128 제3절 가족 이행에 대한 젠더의식 144 제4절 성인됨에 대한 인식 154 제5절 소결 181 제6장 결론 185 제1절 주요 결과 187 제2절 정책적 함의 192 참고문헌 197 부 록 211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236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이행기 청년 삶의 궤적에 관한 연구: 이행 특성의 변화와 요인 분석 |
dc.title.alternative | Understanding the Life Trajectories of Young Adults in Transition: Analysis of Transition Dynamics and Influential Variables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청년 |
dc.subject.keyword | 성인이행 |
dc.subject.keyword | 생애과정 |
dc.subject.keyword | 이행레짐 |
dc.subject.keyword | 성인 표식 |
dc.subject.keyword | 이행 패턴 |
dc.subject.keyword | young adult |
dc.subject.keyword | transition to adulthood |
dc.subject.keyword | life course |
dc.subject.keyword | transition regime |
dc.subject.keyword | markers to adulthood |
dc.subject.keyword | pattern of transitio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Moon-Gil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Ki-ta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Sunyo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Woo, Sunhe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Sangba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Roh, Beop Rae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3.56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3-56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3-56 |
dc.citation.date | 2023 |
dc.citation.date | 2023 |
dc.date.dateaccepted | 2024-08-20T07:57:05Z |
dc.date.datesubmitted | 2024-08-20T07:57:05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일반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300031_1_1 |
dc.type.project | 일반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일반23-001-08]이행기 청년 삶의 궤적에 관한 연구:이행 특성의 변화와 요인 분석 |
dc.subject.kihasa | 인구변화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