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Foreword (July 2024,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date.accessioned2024-07-12T00:08:51Z
dc.date.available2024-07-12T00:08:51Z
dc.date.issued2024-07-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509
dc.description.abstract2024년 7월호의 ‘이달의 초점’ 주제는 ‘한국의 사회불안 인식과 사회보장의 과제’이다. 자녀 출산 결정을 어려워하는 사회, 자살률이 높은 사회. 현재 우리 사회에는 그리 바람직하지 않은 수식어가 적지 않게 붙어 있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에는 우리 사회에 대한 사회 구성원의 인식이 적지 않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최근 고용 불안, 주거 불안 등 사회경제적 불안의 객관적 조건과 사회 구성원의 사회경제적 불안 인식에 대한 관심이 부상 중이다. 당연 객관적인 사회경제 조건은 사회 구성원의 삶에 큰 영향을 준다. 이와 더불어 사회 구성원이 인식하는 사회경제적 조건도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어떠한 사회경제적 불안을 느끼고 있는지, 그 불안 인식이 얼마나 높은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과연 정책이 무엇을 고민하여야 하는지를 논의하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빠른 경제 성장을 이루어 낸 우리나라의 사회적 불안 인식은 높은 수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회 구성원이 공히 인식하는 사회경제적 불안이 존재하고, 청년, 중년, 노년의 사회경제적 불안 인식의 내용과 원인은 다소 상이한 측면을 갖는다. 노인의 노후준비와 노화로 인한 불안, 중년의 이중 돌봄으로 인한 불안, 청년의 불공정 사회에 대한 불안 등 각 연령집단의 불안은 각각 조금 더 세밀하게 살펴볼 측면을 지닌다. 전 국민의 사회경제적 불안 인식의 기저에는 개인의 생활 경험과 코호트별 시대 경험이 자리하고 있다. 사회적 불안 인식에 대한 이해는 정신건강 영역의 지원 정책뿐 아니라 전체 사회정책의 설계와 집행에서 고려할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한다. 우리 사회는 치열한 경쟁 인식과 공정에 대한 불신 등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불안 인식이 높은 상황에 처해 있다. 이 상황에서 자산조사형 정책과 보편적 정책, 예산 효율과 사회통합 향상, 근로 동기와 삶에 대한 안정성 확보의 조화 등 정책이 고민하여야 이슈는 다중적이다. 연대에 기초한 사회보장 정책을 강화하면서 국민의 삶에서 불안을 줄이고 국민이 각자의 삶을 보다 적극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정교하고 신중하게 정책을 모색하여야 한다. 특정 사회문제를 현상으로만 파악하고 그 맥락을 놓치는 단편적 정책은 답이 아닐 위험이 높다. 보다 통합적인 정책을 마련하는 데 사회적 불안 인식의 내용과 원인에 대한 이해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July issue of the Health and Welfare Forum is themed around “Perceived Social Insecurity and Social Security Challenges in Korea.” Korea today is tagged with more than a few labels it can hardly take pride in: a society where deciding to have a child is difficult, a society plagued by high suicide rates, and so forth. The social phenomena these labels refer to may have to do, in no small measure, with how we perceive our society as members. Recently,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drawn not only to objective socioeconomic conditions, such as employment and housing insecurity, but also to perceived socioeconomic insecurity. Objective socioeconomic conditions perforce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ives of society’s members. However, socioeconomic conditions as perceived by members of society can also greatly affect their lives. In this issue of the Health and Welfare Forum, we explore what aspects of socioeconomic conditions people in Korea perceive as insecure, to what extent, and for what reasons. We also inquire into policy options for improvement. Despite Korea’s significant economic growth in a short span of time, the level of perceived social insecurity remains high. While certain socioeconomic conditions are commonly seen as insecure by society at large, what it is about these conditions that is perceived as insecure varies considerably across different life stages. The varying nuances of insecurity perceived by different age groups—such as older adults worrying about aging and preparedness, middle-aged individuals concerned about supporting both elderly parents and grown children, and youth feeling insecure about societal fairness—warrant further investigation. The socioeconomic insecurity as perceived by people as a whole mirrors individual life experiences and cohort-specific experiences of different eras. Research into perceived social insecurity provides a wealth of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when making and implementing not only psychosocial health policies but social policies in general. Perceived social insecurity among Koreans is high, with the perception of excessive competition waxing and confidence in fairness waning. In such circumstances, the policy issues at hand are many and multifaceted, including those concerning improving both asset-tested and non-asset-tested support programs, enhancing budgetary efficiency, promoting social cohesion, and balancing work incentives with life security. The approach we need now is one that combines upscaling solidarity-based social security policies with implementing other well-knit policy measures to reduce elements in life susceptible to insecurity and enable individuals to run their lives more proactively. Any policy that views a social problem as an isolated phenomenon, losing sight of the context of which it is part, is unlikely to be the answer. The understanding offered here of perceived social insecurity, I hope, will aid in well-rounded policy efforts.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기획의 글 (보건복지포럼 2024년 7월호)
dc.title.alternativeForeword (July 2024,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사회불안
dc.subject.keyword체계와 생활세계 불안
dc.subject.keyword재산
dc.subject.keyword소득
dc.subject.keywordPerceived Social Insecurity
dc.subject.keywordSystem and Life-World Insecurity
dc.subject.keywordIncome
dc.subject.keywordAsset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yon Joo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4
dc.citation.volume333
dc.citation.number7
dc.citation.date2024-07-01
dc.citation.startPage3
dc.citation.endPage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4년 7월 통권 제333호, pp.3-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4.7 No.333, pp.3-3
dc.date.dateaccepted2024-07-12T00:08:51Z
dc.date.datesubmitted2024-07-12T00:08:51Z
dc.description.subject한국의 사회불안 인식과 사회보장의 과제
dc.description.subjectPerceived Social Insecurity and Social Security Challenges in Korea
dc.subject.kihasa복지국가
dc.subject.kihasa사회통합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dc.subject.kihasa가족변화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dc.description.section권두언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Welfare state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cohesion
Income protection > General income protection
Population and family > Family changes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population aging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