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has two purposes. First, we analyze changes in the policy environment that Korean society and social policies face or will face. Second, we propose directions and tasks that should be promoted for future social policy. As part of this study, an expert panel survey was conducted to predict future policy direction and environment, and our keyword analysis of research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main keywords identified for research direction and task setting were ‘sustainability’ and ‘diversity’. In order to diagnose and set the direction of social policy and the Korean welfare stat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should be encouraged to engage in collaborative research tasks that can respond to dynamic changes.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 약 5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6 제3절 기대효과 및 연구 한계 19
제2장 사회정책 환경 변화 21 제1절 대내외적 환경 및 사회정책 변화 23 제2절 빅데이터 분석 56
제3장 미래 정책 방향에 대한 전문가 인식 75 제1절 (외부)전문가 패널 조사 77 제2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전문가 조사 94
제4장 사회정책 분야별 대응 연구과제 105 제1절 보건 및 사회정책 연구 동향 분석 107 제2절 사회정책 중장기 설정 방향에 대한 검토 125
제5장 결론 및 제언 131 제1절 중장기 사회정책 변화 방향 133 제2절 중기 정책 연구과제 방향 136
참고문헌 149 부록 155 [부록 1] (외부)전문가 패널 조사표 155 [부록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전문가 조사표 161
General social security > Welfare state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statistics
Health care > Health care safety net
Income protection > General income protection
Social service > General social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