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Working-Life Instability among Middle-aged People and Support Polic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아영
dc.contributor.author박소은
dc.contributor.author황남희
dc.contributor.author한수진
dc.contributor.author배호중
dc.coverage.temporal2023-01-01 - 2023-12-31
dc.date.accessioned2024-03-29T04:14:27Z
dc.date.available2024-03-29T04:14:27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isbn978896827972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914
dc.description.abstract인구 고령화와 재정적 압박으로 늦은 퇴직을 장려하기 위해 연금정책과 기타 사회 프로그램을 개혁했고, 현재도 개혁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개혁 중 상당수는 조기 퇴직에 대한 페널티를 강화하는 것임을 고려하면, 중년층의 비자발적 실질과 노동 불안정성 양상을 진단하고, 이로 인해 야기되는 노동 궤적 및 소득에 미치는 효과들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분석결과, 이른 나이의 비자발적 퇴직과 노동 생애에 걸친 불안정을 경험하는 중년층의 비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직업 상실 및 노동 불안정은 이후 이들의 노동궤적뿐 아니라 소득에도 지속적인 부정적 효과를 야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년층의 비자발적 실직 경험, 이로 인해 유발되는 노동 생애 불안정을 경험한 근로자를 노동시장으로 재통합하는 것은 노동시장뿐 아니라 사회정책의 주요 과제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abstractWe looked at the working-life instability of the middle-aged, explored how it would affect their labor trajectories and income, and discussed potential support policies. The negative effects on the labor market trajectory and income due to job loss and unstable labor for people in their late-40s and early-50s, as observed in this study, highlight a significant societal issue. Involuntary unemployment from the career job leads to subsequent losses in employment trajectory and income confirms that reintegrating workers who have experienced involuntary early retirement into the labor market is a major task not only for the labor market but also for social poli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이론적 배경 19 제1절 중년층의 개념 및 범주 21 제2절 중년층의 노동 생애 불안정과 소득 불안정 24 제3장 중년층의 경제활동 및 경제상태 실태 37 제1절 분석 개요 39 제2절 중년층의 경제활동 실태 43 제3절 중년층의 경제상태 실태 49 제4절 소결 66 제4장 중년층의 노동 생애 불안정성 측정 69 제1절 분석 개요 71 제2절 분석 결과 79 제3절 소결 106 제5장 중년층 노동 불안정(직업 상실)이 노동궤적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 109 제1절 분석 개요 111 제2절 분석 결과 117 제3절 소결 130 제6장 중년층 지원 정책 현황 및 한계점 133 제1절 분석 개요 135 제2절 중년층 지원 정책 현황 137 제3절 중년층 지원 정책의 한계점 및 개선방안 152 제7장 결론 163 제1절 분석 결과 요약 165 제2절 정책 시사점 요약 170 참고문헌 177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19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중년층 노동 생애 불안정성 측정과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Working-Life Instability among Middle-aged People and Support Polici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노동 생애 불안정
dc.subject.keyword중년 근로자
dc.subject.keyword노동궤적
dc.subject.keyword소득 손실
dc.subject.keywordworking-life instability
dc.subject.keywordmiddle aged worker
dc.subject.keywordlabor trajectories
dc.subject.keywordincome los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A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o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wang, Namhu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Su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 Hojoo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3.17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3-17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3-17
dc.citation.date2023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3-29T04:14:27Z
dc.date.datesubmitted2024-03-29T04:14:27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015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3-015-00]중년층 노동 생애 불안정성 측정과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dc.subject.kihasa노동연계복지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Income protection > Welfare-to-work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