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ome security no-care zone
; working poor
; employment safety net
발행연도
2023
발행기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초록
The income security system has had various social safety net systems since the 2000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each system, there are still wide no-care zone for the working poor. Therefore, evaluating the no-care zone and policies of the income security system for the working poor and identify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ystems is an important issue. The following is what this study is trying to say. The Emergency Welfare Support System needs to be dramatically reformed in order for the working poor, who are in the no-care zone, to maintain a stable livelihood. In the short term,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Emergency Welfare Support System and the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livelihood support is provided, employment education, training, and job placement to households in crisis. In the long term, the earned income tax credit(EITC) system must also be integrated and operated along with the system.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3절 기대효과 및 연구한계 17
제2장 소득보장제도 사각지대 및 새로운 취약계층 현황 19 제1절 근로빈곤층 관련 선행연구 21 제2절 근로빈곤층 실태 28 제3절 소득 및 고용안전망 사각지대 현황 36 제4절 새로운 취약계층 현황 48
제3장 (근로)빈곤층 대상 소득보장제도 현황 및 평가 69 제1절 빈곤층 지원제도 71 제2절 근로빈곤층 대상 지원제도 91 제3절 근로빈곤 및 근로연령층 대상 새로운 변화 160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169 제1절 주요 연구결과 정리 171 제2절 근로연령층 대상 소득보장 개편방향 176
참고문헌 195 부 록 209 [부록1] 금융취약계층: 일본 대응사례 209 [부록2] 일본의 비정규직근로자 및 빈곤의 현황과 대책: 최근의 사회보장제도 및 노동시장 개혁 중심으로 221 [부록3] 노인빈곤 문제 대응 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