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In-Depth Researches on the Use of Administrative Data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for Social Polic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강신욱
dc.contributor.author이원진
dc.contributor.author강희정
dc.contributor.author이정민
dc.contributor.author김현철
dc.contributor.author하은솔
dc.contributor.author문석준
dc.contributor.author김재용
dc.contributor.author김은미
dc.contributor.author장호연
dc.coverage.temporal2023-05-01 - 2023-12-31
dc.date.accessioned2024-03-29T00:46:29Z
dc.date.available2024-03-29T00:46:29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isbn978896827988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907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구축한 <맞춤형 소득-재산 DB>를 이용하여 사회정책과 관련된 주요 쟁점들을 분석함으로써 이 자료의 정책적 활용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는 같은 목적으로 수행되었던 강신욱 외(2022)의 연구에서 도출된 가구 구성안을 활용하였고, 동일한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전년도 연구에 이어 분석의 주제를 다양화하고 시계열을 확장한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conduct research on key topics related to social policy using the Customized Income-Wealth DB, which is an administrative data built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is study is a follow-up to Kang Shin-wook et al. (2022), which utilizes the same data and household composition methods, but covers more in-depth and expanded topic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목적과 구성 15 제2절 자료의 특징 18 제2장 소득분배의 측면에서 본 세대와 가구의 차이 21 제1절 행정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 세대와 가구 23 제2절 세대/가구 단위 선택과 소득 관련 지표 25 제3절 세대와 가구의 결합 유형 30 제4절 세대-가구 결합 유형별 개인 특성 분석 36 제5절 소결 51 제3장 가구 구성안의 이해와 특성 비교 53 제1절 가구 구성안의 구성원칙 55 제2절 가구 구성안 특성 비교 방법 57 제3절 가구 구성안들의 기본적인 특성 59 제4절 가구 구성안들의 소득수준 재배정 특성 비교 65 제5절 가구 구성안 간 차이 유발 집단의 특성 분석 77 제6절 가구 구성안 특성 비교에 따른 소결 86 제4장 인구·가구 구조 변화와 소득분배 추이 89 제1절 분석 개요 91 제2절 분석 방법 91 제3절 분석 결과 95 제4절 소결 114 제5장 지역별 소득 실태 분석 117 제1절 분석 개요 119 제2절 지역 소득 자료의 특성 123 제3절 광역별 소득수준 및 분배 지표 비교 130 제4절 시군구 지역의 소득수준과 소득 불평등 137 제5절 지역 소득과 경제·사회 지표의 상관관계 153 제6절 지역 빈곤율의 추정 162 제7절 소결 166 제6장 소득수준에 따른 사망률 차이 169 제1절 분석 개요 171 제2절 분석 결과 176 제3절 소결 194 제7장 직장 이전이 가구형태, 경제활동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195 제1절 분석 목적 및 개요 197 제2절 공공기관 지방이전 경과 200 제3절 데이터 201 제4절 분석 결과 210 제5절 소결 239 제8장 2018년 건강보험료 개편이 건강보험 재정 및 국민 건강에 미친 효과 241 제1절 분석 목적 및 개요 243 제2절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편 244 제3절 문헌조사 247 제4절 데이터 및 연구 방법 249 제5절 2018년 건강보험료 1단계 개편 이후 건강보험료 총수입의 변화 252 제6절 2018년 건강보험료 개편의 소득역진성 개선 효과 256 제7절 보험료 인상의 인과적 효과 265 제8절 소결 277 제9장 결론과 자료 활용의 시사점 279 제1절 각 장의 주요 결론 281 제2절 자료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모색 285 참고문헌 289 부록 293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국민건강보험공단 행정자료의 사회정책적 활용을 위한 심층 연구
dc.title.alternativeIn-Depth Researches on the Use of Administrative Data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for Social Polic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행정자료
dc.subject.keyword국민건강보험
dc.subject.keyword가구
dc.subject.keyword가구 정의
dc.subject.keyword가구 유형
dc.subject.keyword지역별 소득 격차
dc.subject.keyword소득수준별 사망률 격차
dc.subject.keyword공공기관 이전
dc.subject.keyword건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편
dc.subject.keywordAdministrative data
dc.subject.keywordNational Health Insurance
dc.subject.keywordhousehold
dc.subject.keywordhousehold definition
dc.subject.keywordhousehold arrangement
dc.subject.keywordregional income disparities
dc.subject.keywordmortality disparities
dc.subject.keyword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dc.subject.keywordeform of health insurance premium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Shinwoo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Won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Hee-Ch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ungm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yuncheo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 Eun-so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oon, Seok-J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aiy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Eunm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ang, Hoyeo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3.34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3-34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3-34
dc.citation.date2023
dc.citation.date2023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3-29T00:46:29Z
dc.date.datesubmitted2024-03-29T00:46:29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130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3-001-00]국민건강보험공단 행정자료의 사회정책적 활용을 위한 심층 연구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Income protection > General income protection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