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기태 |
dc.contributor.author | 류진아 |
dc.contributor.author | 강희정 |
dc.contributor.author | Giuliano Bonoli |
dc.contributor.author | Orly Gerbi |
dc.contributor.author | 서효진 |
dc.coverage.temporal | 2023-01-01 - 2023-12-31 |
dc.date.accessioned | 2024-03-28T06:23:31Z |
dc.date.available | 2024-03-28T06:23:31Z |
dc.date.issued | 2023 |
dc.identifier.isbn | 978896827992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904 |
dc.description.abstract | 대부분의 OECD 회원국은 사회보험 형태로 상병수당제도를 운영하지만, 스위스, 이스라엘, 네덜란드에서는 고용주가 아픈 노동자에게 병가 기간 동안 직접 급여를 지급한다. 이 보고서는 세 국가의 법정유급병가 제도의 역사와 현재 상황을 분석한다. 한국은 상병수당 도입을 위한 시범 제도를 시행하고 있어, 정부가 시행하는 상병수당과 민간 유급병가와의 관계는 중요한 쟁점 중 하나다. 이번 보고서는 세 국가들의 유급병가 제도 운용 과정에서 시행착오, 제도 개선 및 개혁 사례를 연구했다. 이를 통해 한국의 상병수당 시범사업 운영 및 본 제도 도입 과정에서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While the majority of OECD member states use social insurance to secure sickness benefits for sick workers, some states rule that employers directly pay the benefit to their sick employees: Switzerland, Israel and the Netherlands. This report analyzes the histories and current situations of the mandatory sick leave schemes in the three nations. As Korea is implementing the pilot scheme to introduce the sickness benefits, the relation between the government-implemented sickness benefits and the mandatory sick leave is one of pivotal issues. By studying the experiences, mistakes, system improvements and reforms of the three countries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ir mandatory sick leaves, we aim to find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s future sickness benefit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제2절 한국의 상병수당 도입 현황 22 제2장 스위스의 법정 유급병가 37 제1절 서론 39 제2절 스위스의 사회정책 41 제3절 유급병가제도의 역사 51 제4절 유급병가제도의 현황 57 제5절 제도의 성과 69 제6절 맺음말 74 제3장 이스라엘의 법정 유급 병가 79 제1절 이스라엘의 사회정책 81 제2절 유급병가법과 1970년도 제정 배경 86 제3절 유급병가제도의 발전 과정 90 제4절 유급병가제도 실행상의 논점 112 제5절 맺음말 126 제4장 네덜란드의 법정 유급병가 129 제1절 네덜란드의 사회정책 131 제2절 유급병가제도의 역사 139 제3절 유급병가제도의 현황 145 제4절 제도의 성과와 한계 157 제5절 맺음말 167 제5장 결론 171 제1절 세 나라 제도 요약 및 분석 173 제2절 정책적 함의 189 참고문헌 197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217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주요 복지국가의 상병수당 제도 경험 및 운영 현황 연구 - 스위스, 이스라엘, 네덜란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 Study on Sickness Benefits in Major Welfare States: Switzerland, Israel and the Netherlands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상병수당 |
dc.subject.keyword | 유급병가 |
dc.subject.keyword | 스위스 |
dc.subject.keyword | 이스라엘 |
dc.subject.keyword | 네덜란드 |
dc.subject.keyword | 복지국가 |
dc.subject.keyword | sickness benefit |
dc.subject.keyword | sick leave |
dc.subject.keyword | sick pay |
dc.subject.keyword | Switzerland |
dc.subject.keyword | Israel and the Netherlands |
dc.subject.keyword | wefare stat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Ki-ta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Ryu, Jin-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ang, Hee-Ch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Giuliano Bonoli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Orly Gerbi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eo, hyojin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3.54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3-54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32-54 |
dc.citation.date | 2023 |
dc.date.dateaccepted | 2024-03-28T06:23:31Z |
dc.date.datesubmitted | 2024-03-28T06:23:31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일반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300055_1_1 |
dc.type.project | 일반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일반23-010-00]주요 복지국가의 상병수당 제도 경험 및 운영 현황 연구: 스위스, 이스라엘, 네덜란드의 사례를 중심으로 |
dc.subject.kihasa | 소득보장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