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Marriage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Sex Ratio Imbalance at Birth

제목
Marriage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Sex Ratio Imbalance at Birth
저자(타언어)

Cho, Sungho ; Suga, Keita ; Moon, Seung-Hyun ; Jeong, Jooseong

키워드
sex ratio at birth ; marriage ; unmarried population
발행연도
2023
발행기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초록
Until now, the causes of unmarried population have been found in young people's marriage and childbirth values, socioeconomic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but the imbalance in birth sex ratio that has continued for 30 years since the early 1980s has created a population structure in which people cannot get married even if they want to.
In this study, demographic indicators were calculated to see how the sex ratio imbalance at birth affected Korea's current population structure, and future trends were also analyzed. We also looked at the policy needs of young people. Please refer to this report for further detail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이론적 배경 15
제1절 출생성비 불균형 발생 원인 17
제2절 출생성비 불균형의 인구사회학적 영향 27
제3절 결혼성비 불균형 지표 및 생애 미혼율 장래 추계 33
제4절 출생성비 불균형의 국외 사례 42

제3장 성비 불균형 현황과 진단 61
제1절 성비 불균형 현황 63
제2절 성비 불균형과 혼인 관련 지표 74
제3절 생애 미혼율의 장래 추계 110

제4장 미혼인구의 정책적 욕구 119
제1절 지방 미혼인구의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 122
제2절 지방 미혼인구에 대한 결혼 지원 정책 132
제3절 지방의 인구 유입 정책에 대한 인식 144

제5장 결론 149

참고문헌 161
부 록1 가상 결합 후 미혼자 및 비율 170
보고서 번호
Research Monographs 2023-16
ISBN
9788968279713
DOI
10.23060/kihasa.a.2023.16
KIHASA 주제 분류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
Population and family > Family changes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