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Fertility Changes and Policy Responses 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신윤정
dc.contributor.author계봉오
dc.contributor.author김근태
dc.contributor.author유삼현
dc.contributor.author박수빈
dc.contributor.author김보름
dc.coverage.temporal2023-05-01 - 2023-12-31
dc.date.accessioned2024-03-05T05:25:13Z
dc.date.available2024-03-05T05:25:13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isbn978896827967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749
dc.description.abstract2008년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주요 국가들의 출산율은 하락하고 있으며 출산을 둘러싼 환경도 과거와 달라지고 있다.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출산력 결정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하여 우리나라 가임기 남녀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외국이 추진하고 있는 정책 현황과 동향을 검토하고, 최근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우리나라의 저출산 대응 정책의 방향성을 재 모색하는 것이 요청된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현재까지 나타나고 있는 주요 국가들의 출산율 변동을 분석하고, 전통적인 출산 결정 요인과 함께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우리나라 가임기 청년들의 인식을 확인하였다. 또한, 주요 국가들의 정책 현황과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각 국가의 정책적인 노력에서 시사점을 강구하여 우리나라 저출산 대응 정책 추진을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in 2008, global fertility rates have declined overall, and few countries are expected to see an increase in fertility rates in the near future. In Korea, recent fertility fluctuations have been driven by traditional fertility determinants, and changes in these determinants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new fertility determinants. This study analyzes fertility rate changes in major countries since the 2008 global economic crisis, identifies new factors that have emerged alongside traditional determinants of fertility, and examines the perceptions of Korean youth of childbearing 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주요 국가의 출산율 변동 분석 15 제1절 개요 17 제2절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19 제3절 자료 및 분석 방법 28 제4절 주요 국가의 출산율 변동 분석 34 제5절 소결 62 제3장 최근 출산력 결정 요인 변화와 특징 65 제1절 개요 67 제2절 출산력 결정 모형 67 제3절 출산력 결정 요인의 변화 80 제4절 초저출산 결정 요인의 특징 100 제5절 소결 104 제4장 최근 출산력 결정 요인에 대한 인식 분석: 초점 집단 토론 107 제1절 개요 109 제2절 설문 내용 111 제3절 분석 결과 115 제4절 소결 141 제5장 주요 국가의 저출산 대응 정책 현황과 최근 동향 147 제1절 개요 149 제2절 유럽 국가의 가족 정책 152 제3절 동아시아 국가의 저출산 대응 정책 192 제4절 소결 212 제6장 결론 221 제1절 연구 결과 종합 223 제2절 정책적 시사점 226 참고문헌 229 부록 2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5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주요 국가의 출산율 변동과 정책적 대응 방안
dc.title.alternativeFertility Changes and Policy Responses Since the Global Economic Crisi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출산율
dc.subject.keyword출산율 결정 요인
dc.subject.keyword인구
dc.subject.keyword저출산 대응 정책,
dc.subject.keyword족정책
dc.subject.keywordFertility
dc.subject.keywordDeterminants of fertility
dc.subject.keywordPolicy responses for low fertility
dc.subject.keywordFamily polic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Yoon-je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ye, Bongoh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eunT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 Sam H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oob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Boreum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3.11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3-1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3-11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3-05T05:25:13Z
dc.date.datesubmitted2024-03-05T05:25:13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136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3-007-00]글로벌 경제 위기 이후 주요 국가의 출산율 변동과 정책적 대응 방안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fertility decline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