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Changes in Labor Market and Income Distribution during the COVID-19 Crisi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원진
dc.contributor.author함선유
dc.contributor.author이주미
dc.coverage.temporal2023-01-01 - 2023-12-31
dc.date.accessioned2024-03-05T04:33:39Z
dc.date.available2024-03-05T04:33:39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isbn978896827986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746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 및 소득분배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코로나19의 고용 충격은 주로 2020년과 2021년 상반기에 집중되었고, 대체로 2022년 초반에 2019년 수준의 고용률을 회복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돌봄 공백과 경력 단절이 여성 경제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코로나19의 노동시장 충격이 대면 서비스업과 자영업에 집중되었다. 인구·가구 구조 변화를 통제할 때 코로나19 이전 시장소득 증가 추이 및 시장소득 분배 개선 추이가 2020년에 중단된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에 평균적으로 시장소득이 감소하였고 시장소득 분배가 악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초등학생 동거 여성의 소득·빈곤 충격은 코로나19로 인한 돌봄 공백이 가구 내 이차소득자의 노동시장 지위를 하락시켰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의 소득·빈곤 충격은 코로나19로 인한 영세 자영업자의 경제적 피해가 컸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개인취업소득 2분위, 비취업자, 가구시장소득 2분위 등과 같이 소득 수준이나 노동시장 지위가 낮은 집단의 경제적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다는 사실도 주목할 만하다. 코로나19의 시장소득 충격에도 불구하고, 2020년 5월 긴급재난지원금, 2021년 9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과 저소득층, 자영업자, 특수형태근로자, 프리랜서 등에 대한 다양한 지원 덕분에 코로나19 이후 가처분소득 수준 및 분배는 거의 악화하지 않았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labor market and income distribution during the COVID-19 crisis. First, COVID-19 shock on employment was evident in 2020 and the first half of 2021, and faded away until early 2022. Child care gap due to COVID-19 had a long-lasting negative influence on women's employment with children. A decrease in working hours and an increase in temporary leave were also observed. COVID-19 shock on labor market had largely occurred among the service sector and self-employed. Second, COVID-19 shock on market income distribution was observed in 2020.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changes, the level of market income ceased to increase in 2020, while poverty and inequality in market income ceased to decrease in 2020. Women with child, self-employed, and lower income group has experienced larger damage. Third, despite COVID-19 shock on market income distribution, disposable income distribution has not worsened due to an increase in public transfer including large-scale relief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내용 9 제2절 연구 구성 14 제2장 코로나19 전후 노동시장 변화 17 제1절 분석 개요 19 제2절 코로나19 전후 고용 변화 23 제3절 코로나19 전후 일자리 특성 변화 36 제4절 코로나19 전후 산업, 직업, 종사상지위 변화 46 제5절 소결 63 제3장 코로나19 전후 소득분배 변화 69 제1절 분석 개요 71 제2절 분석 방법 72 제3절 2016~2021년 연간 소득분배 변화 77 제4절 2019~2023년 분기 소득분배 변화 110 제5절 소결 118 제4장 코로나19 전후 경제활동 및 소득·빈곤의 종단적 변화 123 제1절 분석 개요 125 제2절 분석 방법 126 제3절 코로나19 전후 경제활동 및 소득분배 추이 134 제4절 코로나19 전후 경제활동 및 소득·빈곤 변화 137 제5절 코로나19 전후 공적이전의 소득·빈곤 효과 변화 165 제6절 소결 195 제5장 결론 201 제1절 분석 요약 203 제2절 정책적 시사점 207 참고문헌 211 부 록 2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3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 및 소득분배 변화
dc.title.alternativeChanges in Labor Market and Income Distribution during the COVID-19 Crisi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코로나19
dc.subject.keyword노동시장
dc.subject.keyword소득분배
dc.subject.keyword빈곤
dc.subject.keywordCOVID-19
dc.subject.keywordlabor market
dc.subject.keywordincome distribution
dc.subject.keywordpovert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Won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m, Suny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u-mi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3.31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3-3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3-31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3-05T04:33:39Z
dc.date.datesubmitted2024-03-05T04:33:39Z
dc.type.research기초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005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3-005-00]코로나19 이후 노동시장 및 소득분배 변화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Income protection > General income protection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