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mate change has been considered a climate crisis, a potential source of extreme weather phenomena and significant changes in the natural ecosystem that pose various threats to human health, including an increased risk of acute and chronic diseases and premature death. Research has revealed that the climate crisis threatens mental health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climate anxiety has become an issue of increasing social concern in Korea. In some countries, mental health is often addressed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health adaptation strategies, 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s considered part of mental health policies. In Korea, mental health issues are discussed in the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re are specific policies in the country to protect mental health from the climate crisi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tatus of mechanisms and research on climate crisis and mental health,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climate anxiety in Korea, and proposed policy options to promote mental health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기후위기와 정신건강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 21 제1절 국외 기후위기와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고찰 23 제2절 국내 기후위기와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현황 분석 54
제3장 기후불안 실태 71 제1절 선행연구 고찰 73 제2절 조사 내용 및 방법 96 제3절 기후불안 수준 107 제4절 기후불안 관련 요인 118
제4장 기후위기 정신건강 적응 정책 135 제1절 국내 정책 동향 137 제2절 국외 정책 및 사업 운영 사례 146
제5장 결론 215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및 고찰 217 제2절 기후위기 시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제언 228
참고문헌 233 부 록 277 [부록 1] 기후불안 관련 척도 277 [부록 2] 정신건강 척도 283 [부록 3] 기후불안 조사표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