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성아 |
dc.contributor.author | 고든솔 |
dc.contributor.author | 신영규 |
dc.contributor.author | 이소영 |
dc.contributor.author | 조성은 |
dc.contributor.author | 노현주 |
dc.coverage.temporal | 2023-03-01 - 2023-11-30 |
dc.date.accessioned | 2024-01-22T00:42:25Z |
dc.date.available | 2024-01-22T00:42:25Z |
dc.date.issued | 2023 |
dc.identifier.isbn | 9788968279423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303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기초연구(2022)」의 후속 작업으로 여전히 주기적 정책 동향 분석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기틀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2022년 기초 연구에서 작성한 동향 분석틀을 개선하고 DB 구축 방안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의 정례화와 고도화를 이루기 위한 과제를 제언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As a follow-up to "A Preliminary Study of Social Trends Monitoring (2022)," This research project aims to improve the trend analysis framework created in the basic study in 2022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 periodic policy trend analysis system and to refine the plan for building a database. Synthesizing the main findings, we suggested tasks for the regularization and upgrading of social policy performance and trend analysis in the futur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틀 개선 17 제1절 분석틀 개선 조사 개요 19 제2절 보건의료 분야 21 제3절 소득과 주거 분야 34 제4절 사회서비스 분야 48 제5절 인구 분야 56 제6절 사회보장 일반 70 제3장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지표 DB 구축 방안 85 제1절 보건의료 분야 87 제2절 소득과 주거 분야 93 제3절 사회서비스 분야 103 제4절 인구 분야 109 제5절 사회보장 일반 119 제4장 결론 및 제언 129 제1절 요약 및 결론 131 제2절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방안 132 참고문헌 137 부록 143 [부록 1]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틀 개선을 위한 전문가 조사표 143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172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title |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기반 연구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Basis of the Social Trends Monitoring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사회정책 |
dc.subject.keyword | 정책성과 |
dc.subject.keyword | 사회지표 |
dc.subject.keyword | 동향 분석 |
dc.subject.keyword | Social policy |
dc.subject.keyword | Performance of social policies |
dc.subject.keyword | Social indicator |
dc.subject.keyword | Trend Monitori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Seong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Go, Dun-Sol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hin, Young-Kyu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So-Yo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 Sunge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Noh, Hyun-ju |
dc.type.other | 수시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b.2023.03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수시) 2023-03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Occasional) 2023-03 |
dc.citation.date | 2023 |
dc.citation.date | 2023 |
dc.date.dateaccepted | 2024-01-22T00:42:25Z |
dc.date.datesubmitted | 2024-01-22T00:42:25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시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300098_1_1 |
dc.type.project | 수시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시23-001-01]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기반 연구 |
dc.subject.kihasa | 소득보장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