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태완 |
dc.contributor.author | 김수진 |
dc.contributor.author | 지민웅 |
dc.contributor.author | 조덕상 |
dc.contributor.author | 금종예 |
dc.contributor.author | 홍민기 |
dc.contributor.author | 심재헌 |
dc.contributor.author | 임완섭 |
dc.contributor.author | 김기태 |
dc.contributor.author | 이원진 |
dc.contributor.author | 김영미 |
dc.contributor.author | 김진욱 |
dc.contributor.author | 노법래 |
dc.contributor.author | 주병기 |
dc.contributor.author | 최준영 |
dc.contributor.author | 한수진 |
dc.contributor.author | 이윤상 |
dc.contributor.author | 박양신 |
dc.contributor.author | 박진 |
dc.contributor.author | 이승주 |
dc.contributor.author | 강동우 |
dc.contributor.author | 손연정 |
dc.contributor.author | 이소영 |
dc.contributor.author | 한정민 |
dc.contributor.author | 이찬호 |
dc.contributor.author | 나현수 |
dc.contributor.author | 민경찬 |
dc.coverage.temporal | 2022-12-22 - 2023-10-21 |
dc.date.accessioned | 2023-11-23T00:57:49Z |
dc.date.available | 2023-11-23T00:57:49Z |
dc.date.issued | 2023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029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및 기대효과 6 제2장 격차 개념 및 문헌연구 제1절 선행연구를 통해 본 격차 개념 11 제2절 격차 개념 20 제3장 한국의 발전과정과 격차 문제 제1절 외환위기 이전의 발전과 격차현상 31 제2절 외환위기 이후 사회발전과 격차현상 44 제4장 격차와 사회경제적 영향 제1절 한국 사회보장 전개와 격차문제 77 제2절 인구변동과 격차현상 106 제5장 통계를 통해 본 격차 인식 제1절 국민 및 전문가 인식 변화 139 제2절 한국 사회 격차 현상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학술논문과 기사문에 대한 자연어 처리를 중심으로 176 제6장 한국사회 부문별 격차 진단과 대응 제1절 1990년대 이후 소득격차 추이 216 제2절 가구 기대효용 현재가치를 통해 진단한 한국사회 격차 221 제3절 한국사회 교육격차 실태분석 227 제4절 한국 사회 건강 격차 232 제5절 일자리 및 노동 격차 연구 238 제6절 지역 간 인력부족 격차와 보상임금 프리미엄 추정 245 제7절 한국사회 자산(부동산) 격차 250 제8절 도농간 격차실태와 대응전략 256 제9절 공간 관점에서 본 다중격차: 부산지역 사례연구 263 제10절 기업간 격차에 대한 소고 269 제7장 격차해소를 위한 정책제언 제1절 주요 연구결과 논의 275 제2절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제언 278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317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title | 한국사회 격차현상 진단과 대응전략 연구(총괄)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Diagnosis of Disparity Phenomenon in Korea Society and Response Strategies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격차 |
dc.subject.keyword | 소득불평등 |
dc.subject.keyword | 교육 |
dc.subject.keyword | 노동시장 |
dc.subject.keyword | 지역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Taewan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url | 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OTP_0000000000012803 |
dc.identifier.localId | 용역보고서 2023-40 |
dc.identifier.localId | Commissioned Reports 2023-040 |
dc.citation.date | 2023 |
dc.citation.date | 2023 |
dc.date.dateaccepted | 2023-11-23T00:57:49Z |
dc.date.datesubmitted | 2023-11-23T00:57:49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200253_1_1 |
dc.type.project | 수탁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탁22-152-00]한국사회 격차현상 진단과 대응전략 연구 |
dc.subject.kihasa | 소득보장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