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현주 |
dc.contributor.author | 강희정 |
dc.contributor.author | 오욱찬 |
dc.contributor.author | 이원진 |
dc.contributor.author | 이혜정 |
dc.contributor.author | 이병재 |
dc.contributor.author | 한겨레 |
dc.contributor.author | 이상정 |
dc.contributor.author | 류정희 |
dc.contributor.author | 성재민 |
dc.contributor.author | 이길제 |
dc.contributor.author | 이재원 |
dc.coverage.temporal | 2022-03-21 - 2023-03-31 |
dc.date.accessioned | 2023-10-06T02:01:30Z |
dc.date.available | 2023-10-06T02:01:30Z |
dc.date.issued | 2023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3801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 약 1 제1부 연구의 개요와 사회보장행정데이터의 소개 제1장 서론: 연구의 개요 37 제1절 연구의 배경 39 제2절 연구의 목적과 기대효과 42 제3절 연구방법과 분석의 틀 43 제2장 사회보장행정데이터의 구축과 특성 53 제1절 사회보장행정데이터 구축 과정 55 제2절 표본설계와 가중치 부여 56 제3절 자료의 구성과 특성 65 제4절 표본의 특성 70 제2부 기초분석1: 인구집단별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제3장 근로연령층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103 제1절 서론 105 제2절 소득 분포와 공적이전 106 제3절 경제활동과 사회보장제도 수급 110 제4절 불평등 개선 효과와 두루누리 지원·근로장려금의 교차 143 제5절 소결 152 제4장 노인 소득보장 수급과 효과 155 제1절 분석 개요 157 제2절 노인의 기초 특성 158 제3절 노인의 소득 및 빈곤 실태 161 제4절 소결 177 제5장 아동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179 제1절 주요 분석 내용 181 제2절 아동가구 규모와 특성 182 제3절 아동가구 소득보장 현황 187 제4절 아동가구 서비스보장 현황 192 제5절 소결 195 제6장 장애인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199 제1절 분석 개요 201 제2절 장애인구 분포 202 제3절 장애인의 일반 사회보장급여 수급 실태 205 제4절 소득보전 장애급여의 근로장애 개념 부정합성 분석 211 제5절 소결 215 제3부 기초분석2: 정책영역별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제7장 건강보장과 효과 219 제1절 분석 개요 221 제2절 건강보험 가입과 보험료 부과 223 제3절 재난적 의료비 지원과 기타 사회보장 수급의 관련성 231 제4절 보건의료서비스 및 의료비 지원 제도 수급 현황 238 제5절 소결 256 제8장 주거보장과 효과 261 제1절 주거보장 분야 데이터 특성 263 제2절 주거보장 수급과 효과 283 제3절 주택연금 제도 이용과 효과 306 제9장 돌봄 등 사회서비스 보장과 효과 315 제1절 노인돌봄서비스 수급 317 제2절 노인일자리서비스 수급 331 제3절 지역사회서비스: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문화누리카드사업, 스포츠강좌이용권 341 제4절 소결 349 제4부 종합분석과 정책과제 제10장 종합분석 355 제1절 제도형태별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357 제2절 급여형태별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368 제3절 사회보장제도의 소득재분배 효과 종합 372 제11장 사회보장행정데이터 구축 및 활용을 위한 정책과제 381 제1절 사회보장행정데이터의 의의와 공공성 383 제2절 데이터의 정확성과 안정성 제고 방안 387 제3절 데이터 활용 기반 강화 방안 393 참고문헌 397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416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보건복지부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title | 사회보장 행정데이터 구축 및 기초분석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사회보장행정데이터 |
dc.subject.keyword | 사회보장제도 |
dc.subject.keyword | 기초분석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Hyonjoo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url | https://www.prism.go.kr/homepage/asmt/popup/1351000-202200113 |
dc.identifier.localId | 용역보고서 2023-18 |
dc.identifier.localId | Commissioned Reports 2023-018 |
dc.citation.date | 2023 |
dc.date.dateaccepted | 2023-10-06T02:01:30Z |
dc.date.datesubmitted | 2023-10-06T02:01:30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200114_1_1 |
dc.type.project | 수탁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탁22-033-00]사회보장 행정데이터 구축 및 기초분석 |
dc.subject.kihasa | 소득보장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