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곽윤경 |
dc.date.accessioned | 2023-09-14T00:26:00Z |
dc.date.available | 2023-09-14T00:26:00Z |
dc.date.issued | 2023-09-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3586 |
dc.identifier.uri | https://doi.org/10.23062/2023.09.5 |
dc.description.abstract | 이 글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22년 사회통합 상태 진단을 위한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코로나19 전후 사회적 지지 수준과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통합 증진을 위한 함의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지지가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는 것이다. 상황별 도움을 요청할 사람은 평균 1~2명이었지만, 우울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도움을 요청할 사람은 2.79명으로 다른 유형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도움을 요청할 주 대상으로는 친척과 친구를 꼽았다. 직장 동료, 이웃,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을 꼽은 응답은 매우 저조하였다.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통합 인식도 긍정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통합을 증진하고자 하는 궁극적 목적하에 사회적 지지를 높일 수 있는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an overall decline in social suppor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aking it more difficult to build a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harmony among its members.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levels and patterns of social support after COVID-19 and draw implications for promoting social cohesion. The main policy implications from this analysis suggest that, firstly, various social service resources should be provided to build social support systems and, secondly, it is necessary to offer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such as counseling. However, since policy needs vary across different levels of social suppor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argeted and customized services.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extent | 16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코로나19 전후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인식 |
dc.title.alternative | Social Support and Perception of Social Cohesion after COVID-19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삶의질 |
dc.subject.keyword | 공공부조 |
dc.subject.keyword | 주거복지 |
dc.subject.keyword | Quality of Life |
dc.subject.keyword | Public Assistance |
dc.subject.keyword | House Welfare |
dc.description.eprintVersion | published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wak, YoonKyung |
dc.identifier.doi | 10.23062/2023.09.5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23 |
dc.citation.volume | 323 |
dc.citation.number | 9 |
dc.citation.date | 2023-09-01 |
dc.citation.startPage | 54 |
dc.citation.endPage | 69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23년 9월 통권 제323호, pp.54-69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3.9 No.323, pp.54-69 |
dc.date.dateaccepted | 2023-09-14T00:26:00Z |
dc.date.datesubmitted | 2023-09-14T00:26:00Z |
dc.description.subject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사회통합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
dc.description.subject | Policy Directions for Enhancing Social Cohesion in a Post-COVID Era |
dc.subject.kihasa | 복지국가 |
dc.subject.kihasa | 사회통합 |
dc.description.section | 이달의 초점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