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Working Time Reduction and Life, Job Satisfact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고혜진
dc.contributor.author정해식
dc.date.accessioned2023-07-12T08:19:05Z
dc.date.available2023-07-12T08:19:05Z
dc.date.issued2023-06-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83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한국의 근로시간 단축제 시행이 임금 근로자의 삶과 직업 만족도에 미친 영향을 살핀다. 기존 연구에서 제도 도입의 초기 효과에 집중하였던 데 반해, 이 연구는 근로시간 단축제가 도입된 시기와 경과 기간이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근로시간 단축제의 장·단기 효과를 정책 집단별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 40시간 근로제 및 주 52시간 근로상한제 효과 검증을 위해 각각 한국노동패널 2차부터 17차 자료와 18차부터 23차 자료를 이질성에 강건한 이중 차이 분석(heterogeneity-robust DID)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2000년대 초 주 40시간 근로제 도입은 임금 근로자의 직업 만족도를 유의미하게 높였고, 특히 주 5일제 도입과 병행되었을 때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적으로 삶의 만족도를 일정 부분 제고하는 효과도 나타나는데, 이는 일찍 정책 대상이 된 대규모 기업 근로자에서 두드러진다. 한편, 2010년대 후반의 주 52시간 근로상한제는 아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의 삶과 직업 만족도 변화를 이끌어내지 않았다. 주 40시간 근로제 도입으로 직업 만족도의 개선이 즉각적으로 나타났음을 고려할 때, 주 52시간 근로상한제가 임금 근로자의 삶의 만족도를 개선하였을지는 불분명해 보인다.
dc.description.abstractWe investigate wage workers’ life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changes after the introduction of reduced work hours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Considering the policies phased over several years, we adopted heterogeneity-robust DID, which can derive valid estimates even in a multiple-period setting. As a result, life and job satisfaction increased after the 2003 reform, especially with the 5-day work week.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occurred later than changes in job satisfaction, where positive changes immediately showed.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f a 52-hour workweek on life and job satisfaction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has yet to be captured.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근로시간 단축과 삶의 만족: 주 40시간 근로제와 주 52시간 근로상한제 도입의 효과
dc.title.alternativeWorking Time Reduction and Life, Job Satisfaction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근로시간 단축
dc.subject.keyword삶의 만족도
dc.subject.keyword직업 만족도
dc.subject.keyword이질성에 강건한 이중 차이 분석
dc.subject.keywordWorking Time Reduction
dc.subject.keywordLife Satisfaction
dc.subject.keywordJob Satisfaction
dc.subject.keywordHeterogeneity-Robust DID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Hye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Hae-sik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3.43.2.7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3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23-06-30
dc.citation.startPage7
dc.citation.endPage2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3권 제2호, pp.7-2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3 No.2, pp.7-28
dc.date.dateaccepted2023-07-12T08:19:05Z
dc.date.datesubmitted2023-07-12T08:19:05Z
dc.subject.kihasa사회통합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cohesion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