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최현수 |
dc.contributor.author | 고경표 |
dc.contributor.author | 송창길 |
dc.coverage.temporal | 2022-08-09 - 2022-11-30 |
dc.date.accessioned | 2023-07-06T22:45:11Z |
dc.date.available | 2023-07-06T22:45:11Z |
dc.date.issued | 2022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787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 제3절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11 제2장 사회서비스 수요 예측 관련 선행연구 벤치마킹 사례 13 제1절 노인장기요양 서비스 분야 15 제2절 보육서비스 분야 20 제3장 사회서비스 수요 예측 프로세스 및 주요 파라미터 23 제1절 생애주기 및 지역별 사회서비스 수요 예측 프로세스 및 방법론 25 제2절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예측을 위한 제도 및 데이터 탐색 31 제3절 생애주기 및 지역별 사회서비스 수요 예측 결과 51 제4장 사회서비스 분야별 수요·공급 현황 및 예측 정보 제공 플랫폼 개발 191 제1절 생애주기 및 지역별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현황 및 예측 정보 제공 플랫폼 프로토타입 개발 193 제2절 지역별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정보 플랫폼 구성 내용 및 시연 195 제5장 사회서비스 분야별 수요·공급 예측 정보 제공 플랫폼 구축 방향 및 추진방안 215 제1절 기초연구를 통해 구현된 플랫폼 프로토타입 217 제2절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예측 정보 제공 플랫폼 구축 방향 및 주요 서비스 기능 구현 내용 (2023~2024) 222 제3절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예측 정보 제공 플랫폼 구축 방향에 따른 추진방안 비교 및 향후 확장 가능성 225 참고문헌 235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243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중앙사회서비스원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title | 지역별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예측 모델 기초연구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사회서비스 |
dc.subject.keyword | 수요 예측 |
dc.subject.keyword | 지역 기반 플랫폼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Hyunsoo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22-117 |
dc.citation.date | 2022 |
dc.citation.date | 2022 |
dc.date.dateaccepted | 2023-07-06T22:45:11Z |
dc.date.datesubmitted | 2023-07-06T22:45:11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200205_1_1 |
dc.type.project | 수탁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탁22-106-00]지역별 사회서비스 수요공급 예측 모델 기초연구 |
dc.subject.kihasa | 복지국가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