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Study of Strategies for Promoting Public Welfare Activit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고경환
dc.contributor.author박영선
dc.contributor.author이연희
dc.contributor.author김태완
dc.contributor.author남기철
dc.contributor.author손명구
dc.contributor.author김원득
dc.contributor.author박선미
dc.contributor.author오영수
dc.contributor.author정복교
dc.contributor.author홍성태
dc.contributor.author김성진
dc.contributor.author김성진
dc.contributor.author천미경
dc.contributor.author조용찬
dc.coverage.temporal2022-06-08 - 2023-04-07
dc.date.accessioned2023-04-20T05:10:19Z
dc.date.available2023-04-20T05:10:19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438
dc.description.abstract사회문제는 개인적으로 해결하기 힘들며 대개 사회적 참여와 공동체적 노력인 사회공익활동이 필요 하다. 이들 활동은 자원봉사, 시민사회운동, 지역 풀뿌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익활동은 사회적 가치를 증진시키고 사회통합을 도모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공익활동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지속성이 낮아지고 있다. 바로 헌신과 희생을 당연시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공익활동에 대한 과소 평가이다. 이에 따라 공익활동에 관한 사회적 인정의 공론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일부 지방정부에서는 공익활동 증진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익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사회적 인정체계와 다양성과 소통성을 갖춘 플랫폼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회활동가의 특성과 욕구를 고려한 사회적 보상과 지원, 그리고 활성화 할 플랫폼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공익활동가(자원봉사, 비영리민간단체, 마을공동체) 4,000명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인정 욕구 조사 결과, 자원봉사자들은 공공서비스 할인이나 공공시설 우선 사용권 등의 ‘경제적 예우’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사회적 존중’ 순이었다. 비영리단체나 마을공동체는 공익활동을 경제적 가치로 보상 또는 인정하는 ‘직업적 인정’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경제적 예우’ 순이었다. 따라서 공익활동 분야별로 기본 특성과 배경이 다른 만큼 인정방향은 자원봉사활동은 사회적 예우, 실비보상 및 간접예우 중심으로, 마을공동체·비영리민간단체는 사회적 예우에 경제적, 직업적 인정 중심으로 분리하여 제시하였다. 즉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은 5대 추진전략과 13개 추진과제 그리고 35개 개별과제로 제시하였다. 특히 개별과제에 대해 두 그룹, 즉 자원봉사활동과 마을공동체·NPO를 분리하여 제안하였고, 기존제도와 신규제안으로 구분 표시하였다. 마을공동체와 NPO는 사회적 인정에 대한 역사가 짧은 만큼 대부분 신규제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현행 공익활동 플랫폼의 내·외부적 환경맥락을 SWOT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강점위협전략 (ST)과 약점위협전략(WT)을 적용한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였다. 강점위협전략은 공식적 인증 기능을 탑재한 새 플랫폼을 구축하거나 현행 플랫폼의 전면 개편을, 약점위협전략은 기존의 각 온라인 체계 에서 개별 플랫폼의 기능(소통·공유, 활동이력관리, 정보 통합검색 등)을 보강하는 것이다. 앞으로 공익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정체계 등이 도입되어 활동가의 효능감과 자긍심을 제고하고 공동 체성의 회복과 사회적 가치 실현의 기반이 되길 기대한다.
dc.description.abstractSocial problems are difficult to solve at the individual level, and often require social participation and such communal efforts as public welfare activities. These activities take place in various fields, such as volunteering, civic movements, and community-based grassroots efforts, all intended to enhance social values and promote social integration. However, in recent years,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sustainability of public welfare activities have been declining, as in the current societal atmosphere, dedication and sacrifice are often taken for granted and the value of public welfare activities is underestimated. In response, there is a growing public discourse revolving around the social recognition of public welfare activities, and some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ordinances to promote public welfare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rategies for building a social recognition system and a platform with diversity and communication capabilities to promote public welfare activities. To this end, this study suggests taking social compensation and support measur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ocial activists, and presents platform strategies for putting them into practice. First,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ocial recognition needs of 4,000 public activists (volunteers, non-profit organizations, and community groups). Among volunteers, “economic benefits”, such as discounts on public services or priority use of public facilities, were most frequently cited as needed, followed by "social respect." Non-profit organizations and community groups most often cited the need for “professional recognition”, meaning their public welfare activities should be recognized as an economic value and rewarded as such, followed by “economic benefits.” Therefore, different recognition strategies were proposed for public services with varying features and backgrounds. For volunteer activities, the focus of the proposed recognition strategies was on social benefits, cost reimbursement, and fringe benefits. For community group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the emphasis was placed more on social benefits with eco nomic and professional recognition. Our proposals for social recognition of public welfare activities were organized into five strategies, 13 task areas, and 35 individual programs. The individual programs, in particular, were proposed separately for the two groups, namely volunteers and community groups/NPOs, with existing programs distinguished from new proposals. As the history of social recognition for community groups and NPOs is relatively short, most of the proposed solutions are new. Next, we analyzed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ontext of the current public service platform using the SWOT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method, and proposed a platform development approach that applies the Strengths-Threats (ST) and Weaknesses-Threats (WT) strategies. The ST strategy suggests building a new platform with an official certification function or a complete overhaul of the current platform, while the direction of the WT strategy is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individual platforms in each online system, such as communication and sharing, activity history management, and integrated information access. I hope that in the future, a social recognition system for public welfare activities will be introduced to enhance the efficacy and self-esteem of volunteers and to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and the realization of social valu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8 제Ⅰ부 공익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정 개념과 현황 제2장 공익활동의 개념과 사회적 인정의 쟁점 제1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에 관한 논의 15 제2절 공공의 이익과 시민 공익활동 19 제3절 공익활동과 사회적 인정 24 제4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에 대한 국제 비교론적 함의 30 제5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체계 39 제3장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사례 제1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사례 : 자원봉사 45 제2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사례 : 비영리민간단체 80 제3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사례 : 마을공동체 114 제4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사례 : 국제 비교론적 준거 및 해외 사례 143 제Ⅱ부 공익활동 플랫폼의 역할과 운영현황 제4장 공익활동 플랫폼의 개념과 역할 제1절 플랫폼의 개념과 역할 165 제2절 공익활동 플랫폼의 가치와 역할 169 제5장 공익활동 플랫폼의 현황 제1절 국내외 공익활동 플랫폼의 현황 175 제2절 공익활동 플랫폼의 현황 및 사례 시사점 214 제Ⅲ부 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욕구조사 제6장 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욕구조사 : 일반 현황 분석 제1절 조사개요 223 제2절 주요 내용 분석 229 제7장 사회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욕구조사 : 주요 특성별 분석 제1절 공익활동의 참여와 가치관 255 제2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방안 261 제3절 공익활동 플랫폼의 역할과 기능 270 제4절 시사점 291 제Ⅳ부 공익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제8장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방안과 정책과제 제1절 사회적 인정 방안 관련 주요 쟁점 301 제2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기반 조성과 정책 과제 312 제3절 사회적 인정 대상별 과제 328 제9장 공익활동의 플랫폼 구축 방안과 정책과제 제1절 공익활동 플랫폼 구축 방향 333 제2절 공익활동 플랫폼 구축을 위한 과제 339 제10장 결론 제1절 요약 및 결론 353 제2절 정책제언 368 ■ 참고문헌 375 ■ 부록 391 1. 시민사회 공익활동 현장의 목소리: 포커스그룹인터뷰(FGI) 결과 분석 391 2. 사회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욕구조사(설문지) 40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445
dc.languagekor
dc.publisher경제인문사회연구회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title사회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Strategies for Promoting Public Welfare Activiti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공익활동
dc.subject.keyword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dc.subject.keyword공익활동 플랫폼
dc.subject.keywordpublic welfare activities
dc.subject.keywordsocial recognition of public welfare activities
dc.subject.keywordpublic service platfor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Gho, Gyeonghoan
dc.type.other정책보고서
dc.identifier.url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OTP_0000000000012015
dc.identifier.localId정책보고서 2023-04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3-04-20T05:10:19Z
dc.date.datesubmitted2023-04-20T05:10:19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수탁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171_1_1
dc.type.project수탁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수탁22-079-00]사회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dc.subject.kihasa복지국가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Welfare state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