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정은희 |
dc.contributor.author | 함선유 |
dc.contributor.author | 한겨레 |
dc.contributor.author | 김경휘 |
dc.contributor.author | 최상미 |
dc.contributor.author | 정해식 |
dc.coverage.temporal | 2022-07-13 - 2022-11-30 |
dc.date.accessioned | 2023-04-18T07:38:28Z |
dc.date.available | 2023-04-18T07:38:28Z |
dc.date.issued | 2022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435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7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9 제2장 자활사업단 배치기준과 현황 11 제1절 자활사업단 배치기준 13 제2절 사업단 배치 현황과 문제점: FGI 분석 17 제3절 소결 25 제3장 근로유지형 사업단 참여자 특성 및 사업단 운영현황 파악 27 제1절 근로유지형 사업단의 역사 29 제2절 근로유지형 사업단 운영 현황 36 제3절 근로유지형 사업단 참여자 특성 39 제4절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자활센터 근로유지형 사업단 담당자 서면 인터뷰 결과 분석 57 제4장 근로유지형 사업단 운영 개편 방향 및 관련 제도개선 방안 77 제1절 지역자활센터와 지방자치단체 근로유지형 사업단 운영 비교 79 제2절 근로유지형 사업단 운영 개편 방향 및 관련 제도 개선 방안 84 제5장 자립도전형 사업단 운영 현황과 개선방향 93 제1절 자립도전형 사업단 운영 개요 95 제2절 청년자립도전사업단 현황 96 제3절 청년자립도전사업단 성과 103 제4절 청년자립도전사업단 운영 사례 106 제5절 소결 108 제6장 결론 113 제1절 배치기준 개선방향 115 제2절 근로유지형 사업단 개편 방향 117 제3절 자립도전형 사업단 개편 방향 119 참고문헌 121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133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보건복지부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title | 참여자 역량별 자활사업단 개편방안 수립 연구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자활사업 |
dc.subject.keyword | 자활역량 |
dc.subject.keyword | 자활사업단 배치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oung, Eunhee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url | https://library.mohw.go.kr/Search/Detail/100261?key=11-1352000-003475-01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22-103 |
dc.citation.date | 2022 |
dc.date.dateaccepted | 2023-04-18T07:38:28Z |
dc.date.datesubmitted | 2023-04-18T07:38:28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200191_1_1 |
dc.type.project | 수탁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탁22-094-00]참여자 역량별 자활사업단 개편방안 수립 연구 |
dc.subject.kihasa | 소득보장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