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저출산·고령사회 정책 개발을 위한 지자체 및 민간연구기관 협동연구(2부) - 저출산(생)·고령사회 문화 환경에 대한 진단과 정책적 함의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강식
dc.contributor.author김인춘
dc.contributor.author최정원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ontributor.author박종서
dc.contributor.author고은아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3-31T08:26:57Z
dc.date.available2023-03-31T08:26:57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932-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34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여러 학문 및 연구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인구현상과 관련된 사회 집단 및 계층의 여러 상황과 문제들을 살펴보면서 다양한 관점과 문제의식, 주장, 대응 등에 주목하였다. 사회문화적 관점, 주관적·심리적 관점에서 개인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족의 관계, 다양한 인구현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관점과 문제의식들을 공론화하는 포럼을 개최함으로써 저출산·고령사회 문화 환경에 대해 구체적으로 진단해 보고 새로운 방안들을 모색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6 제2장 개인의 주관적 가치 추구와 뉴 라이프스타일 11 제1절 기조발제: 개인의 주관적 가치 추구와 뉴 라이프스타일 13 제2절 토론 및 제언 28 제3장 가족의 다양성과 사회의 다양성 47 제1절 가족의 변화와 미래 가족을 위한 정책과제 49 제2절 ‘인구위기’? 시민들의 삶을 인구로 바라보는 ‘사회의 위기’ 53 제3절 한국 사회는 생명을 어떻게 보고 있는가: 출산정책에서 인구정책으로, 인구정책에서 사회정책으로 60 제4절 영화 ‘브로커’를 통해 본 미혼모와 입양가족의 삶 68 제5절 새로운 친밀성, 다양한 생애주기 74 제6절 생애 다양성의 문화적 요인 80 제4장 젠더, 돌봄, 가족, 가족문화 897 제1절 젠더, 돌봄, 가족, 가족문화 89 제2절 가족과 돌봄의 민주적 재구성 94 제3절 스웨덴 가족의 다양한 모습, 가족문화, 가족복지정책 104 제4절 노인 돌봄, 요양원과 요양병원 너머 117 제5절 새로운 삶의 규범으로서 동거, 그리고 출생률 126 제6절 부성휴가가 가족 내 성평등에 미치는 영향: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135 제5장 코로나19 이후 개인, 가족, 사회공동체 139 제1절 다가오는 초고령 사회, 준비는 되어 있나?: 현황과 과제 141 제2절 저출생·초고령 사회의 문제들과 해결방안 174 제3절 저출산의 뉴노멀화와 난잡한 돌봄 205 제4절 Covid-19 이후, 어떤 복지국가를 만들 것인가? -고령화와 노동 변화에 대한 대응- 234 제6장 저출산(생)·고령사회 문화 환경에 대한 진단 267 제1절 한국의 인구 현상과 가족 변화 269 제2절 저출생과 청년세대 274 제3절 가족의 변화와 재생산 위기 281 제4절 젠더, 성 평등(성차별), 가족문화 293 제5절 토론 및 제언 300 제7장 결론: 정책적 함의 313 제1절 저출산(생)·고령화를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 315 제2절 평등성과 다양성의 강화 318 제3절 가족 제도(법) 개혁의 시급성 320 참고문헌 323 부 록 331 [부록 1] <저출산(생)·고령사회 문화 환경에 대한 진단과 정책적 함의> 자문 자료 331 [부록 2] 포럼 및 컨퍼런스 안내문 348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36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저출산·고령사회 정책 개발을 위한 지자체 및 민간연구기관 협동연구(2부) - 저출산(생)·고령사회 문화 환경에 대한 진단과 정책적 함의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저출산 고령화
dc.subject.keyword지역 인구정책
dc.subject.keyword거버넌스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Kang-Shi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Incho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Jeong W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o-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Jongse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Go, Eun-ah
dc.type.other정책자료
dc.identifier.doi10.23060/kihasa.f.2022.05.2
dc.identifier.localId정책자료 2022-05-02
dc.identifier.localIdPolicy Memos 2022-05-02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3-31T08:26:57Z
dc.date.datesubmitted2023-03-31T08:26:57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54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2-001-11]저출산고령사회 정책 개발을 위한 지자체 및 민간연구기관 협동연구
dc.subject.kihasa인구변화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