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tegrated Medical Support for the Homeless People and Policy Planning for Re-settlement in the Community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임덕영 |
dc.contributor.author | 이태진 |
dc.contributor.author | 최준영 |
dc.contributor.author | 민소영 |
dc.contributor.author | 유야마 아쓰시 |
dc.contributor.author | 홍성운 |
dc.coverage.temporal | 2022-01-01 - 2022-12-31 |
dc.date.accessioned | 2023-03-20T08:29:26Z |
dc.date.available | 2023-03-20T08:29:26Z |
dc.date.issued | 2022 |
dc.identifier.isbn | 978896827874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262 |
dc.description.abstract | 노숙인은 타 집단에 비해 심각한 의료 문제를 경험하고 있으나 극단적인 열악한 거처로 인해 응급적 의료서비스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전통적으로는 회복 공간으로 시설이 제공되어 왔으나, 최근 주거를 우선 지원하고 치료와 돌봄을 제공하자는 주거우선접근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의료보장을 위한 다양한 수준과 영역의 의료적 방안들을 검토함과 동시에, 의료적 니즈가 있는 노숙인에 대한 궁극적 서비스 목적으로 지역사회 정착을 상정하고, 이를 위한 적절한 의료보장과 주거보장을 통합한 지원체계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노숙인 의료 및 지역사회 정착 지원에 관한 문헌고찰, 국외 사례 및 국내 관련 현황 분석, 현장전문가 자문회의 및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을 바탕으로 포괄적 정책 방향에 대해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서비스의 질 향상, 노숙인 우선 지원과 지역사회 서비스 확충, 노숙인 질환에 대한 관점의 변화, 전문성과 현장성 결합, 의료지원과 주거지원의 연속성 강조를 제안하였다. 또한 거리노숙인 현장, 생활시설, 중앙정부 및 지자체 등 영역 및 주체별 개선해야 할 구체적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Homeless people are experiencing serious medical problems compared to other groups, but it is difficult to expect good effects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due to extremely poor housing. Traditionally, facilities have been provided as a recovery space. However, in recent years, the view of a housing-first approach has been adopted with treatment and care next as a policy direction in many countries for the homeless.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support them with community settlement by establishing a system for integration of appropriate medical coverage and housing security for homeless people in need of medical support. This study conducted a review of the medical and community rehousing support literature for the homeless, foreign cases, domestic related status, field expert advisory meetings, and current status surveys. Policy proposals a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comprehensive policy and support directions for each field. In the comprehensive policy directions, it is proposed to build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to expand priority support and community services for the homeless,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homeless diseases, to combine professionalism and field sense, and to emphasize continuity of medical and housing support. In addition, regarding the site of street homeless people, it is proposed to make it mandatory to form a mental health support team, to improve the medical security system to strengthen medical access, to build emergency shelters, to establish case management and discharge plans, and to develop recovery care programs. Regarding the living facilities, proposals are made for building a pilot model for expansion of housing support in connection with other areas, for changing the role of facilities for community settlement, for establishing individual plans, and for expanding the support for de-facilities.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mainly construct models and guidelines, while local governments should carry out responsible execution thereo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문제 제기 9 제2절 연구 목적 12 제3절 연구 범위 및 연구 방법 13 제4절 연구 구성 14 제2장 노숙인 의료와 지역사회 정착 지원에 대한 문헌 고찰 17 제1절 노숙인 의료와 통합적 지원의 필요성 19 제2절 하우징 퍼스트: 유럽(EU)을 중심으로 32 제3절 노숙인 의료와 지역사회 정착지원에 대한 선행연구 52 제3장 국외 사례 연구 63 제1절 미국의 노숙인 의료 및 지역정착지원 현황 65 제2절 일본의 노숙인 의료 및 지역정착지원 현황 108 제4장 국내 노숙인 의료 및 주거지원과 지역사회 정착 지원 현황 135 제1절 노숙인 정책 개요 137 제2절 노숙인 의료지원 제도 149 제3절 노숙인 주거지원 제도 162 제5장 지역사회 정착 지원사업 분석 181 제1절 현장전문가 자문조사 183 제2절 지역사회 정착 지원사업 현황조사 236 제6장 결론 275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278 제2절 정책 제언 285 참고문헌 311 부록 331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extent | 375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노숙인의 통합적 의료지원과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Integrated Medical Support for the Homeless People and Policy Planning for Re-settlement in the Community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노숙인 |
dc.subject.keyword | 의료지원 |
dc.subject.keyword | 하우징 퍼스트 |
dc.subject.keyword | homeless people |
dc.subject.keyword | medical care |
dc.subject.keyword | housing first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im, DeokYo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Taej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Jun-yo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Min, So-Yo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Atsushi, Yuyam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ong, Sungwoon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2.10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2-10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2-10 |
dc.citation.date | 2022 |
dc.date.dateaccepted | 2023-03-20T08:29:26Z |
dc.date.datesubmitted | 2023-03-20T08:29:26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기본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200012_1_1 |
dc.type.project | 기본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기본22-010-00]노숙인의 통합적 의료지원과 지역사회 정착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
dc.subject.kihasa | 소득보장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