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Policy standards for managing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Korean welfare state: Methods and applications in measuring the adequacy and efficiency of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고제이
dc.contributor.author하솔잎
dc.contributor.author박노욱
dc.contributor.author안영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3-16T07:58:45Z
dc.date.available2023-03-16T07:58:45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892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23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회보장지출의 경직적 속성에서 비롯되는 재정적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실현방안 모색을 위하여, 사회보장지출 규모의 적절성을 진단하고 재정기능의 효율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준을 발굴하여 적용하는 방식을 검토한다. 사회보장지출 관리에 있어 지출목표의 설정이 필요하며, 그 설정기준은 가계의 재정적 수요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국 19-79세 가구주 및 가구주의 배우자 3038명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보장수요와 비용부담의사에 관한 설문조사와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에 기초하여 참조예산(Reference budget)기법을 활용하여 적정 사회보장지출 총량 수준의 범위를 측정하였다. 사회보장지출의 기능적 효율성 진단기준으로 먼저 이의 고유한 재정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소득재분배에 대한 영향을 빈곤율과 지니계수라는 대표적인 분배지표의 기간별 변화에 대한 소득원천별 섀플리값 분해 방식을 실제 우리나라 데이터에 적용하여 진단기준으로 활용 가능한가를 가늠해 보았다. 두 번째 재정 기능 진단 기준으로 사회보장지출의 자동안정화 효과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검토하고 실제 데이터를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ree-year study is to develop a set of policy standards for diagnosing and monitoring the adequacy and efficiency of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 In this second-year of the study, we first reviewed fiscal frameworks in the Netherlands and Sweden as best practices. We also reviewed the method of diagnosing appropriateness of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s. A range of required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s was estimated based on household’s financial demand by applying the Reference Budget technique. The level of household’s financial demand for government transfer was measured in the following criteria. The absolute and relative poverty lines, the standard median income, the average consumption of households for daily life, and the willingness to pay for public assistance. Finally, we examined the performance of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s at a collective level, measuring the effects of income redistribution and economic stabil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0 제2장 재정관리 사례와 정책적 시사점 13 제1절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재정관리제도 13 제2절 네덜란드와 스웨덴의 재정운용 사례와 시사점 16 제3장 사회보장 지출 규모의 적정성 진단 기준 검토 53 제1절 사회보장 지출 규모의 적정성 진단 필요성 53 제2절 필요 지출 규모 추정 방법 56 제3절 가계의 재정적 수요에 기반한 사회보장 지출 규모 추정 60 제4절 주관적 수요에 기반한 사회보장 지출 규모 추정 71 제5절 소결 86 제4장 사회보장 지출의 기능적 효율성 진단 기준 검토 93 제1절 진단 기준 선택의 배경 93 제2절 소득재분배 기능 97 제3절 경기안정화 기능 110 제4절 소결 136 제5장 결론 139 참고 문헌 145 부록 155 [부록 1] 설문조사표 155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17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보장 재정 위기 감지 및 대응을 위한 분석적 기반 연구- (II) 사회보장지출의 적정성 진단
dc.title.alternativePolicy standards for managing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Korean welfare state: Methods and applications in measuring the adequacy and efficiency of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보장 지출
dc.subject.keyword지출관리
dc.subject.keyword자동안정화 효과
dc.subject.keyword참조예산
dc.subject.keyword새플리 분해
dc.subject.keywordgovernment social spending
dc.subject.keywordsocial expenditure management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Jay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 Solleep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Nowoo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hn, You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28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2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28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3-16T07:58:45Z
dc.date.datesubmitted2023-03-16T07:58:45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B
dc.subject.nkisMiddleB2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65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2-011-00]사회보장 재정 위기 감지 및 대응을 위한 분석적 기반 연구- (II) 사회보장지출의 적정성 진단
dc.subject.kihasa복지국가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Welfare state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