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여나금 |
dc.contributor.author | 김혜윤 |
dc.contributor.author | 문선영 |
dc.contributor.author | 송창길 |
dc.contributor.author | 이다미 |
dc.contributor.author | 최인혁 |
dc.coverage.temporal | 2022-06-29 - 2022-12-29 |
dc.date.accessioned | 2023-03-15T01:36:47Z |
dc.date.available | 2023-03-15T01:36:47Z |
dc.date.issued | 2022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220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수행체계 9 제2장 소득유형별 소득파악 및 보험료 부과 현황 13 제1절 소득세법 상 소득 개념 및 소득파악 여건 15 제2절 소득유형별 소득금액 및 과세소득 현황 49 제3절 과세소득별 보험료 부과자료 보유 및 부과 현황 64 제3장 소득유형별 건강보험료 부과방향 설정 69 제1절 주요국 소득별 보험료 부과방안 고찰 71 제2절 건강보험료 부과소득에 대한 국민 인식도 조사 116 제3절 과세소득별 건강보험료 부과방향 143 제4장 소득유형별 과세체계 및 보험료 부과 쟁점 검토 149 제1절 근로소득: 분리과세 일용근로소득 및 국외근로소득 151 제2절 금융소득: 분리과세 금융소득과 및 금융투자소득 164 제3절 연금소득: 사적연금소득 및 퇴직소득 196 제4절 기타소득: 가상자산 소득 219 제5절 재산이전소득: 양도소득 및 상속·증여세 223 제6절 새로운 소득원 및 직업군 231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43 제1절 건강보험료 부과소득 확대 로드맵(안) 245 제2절 향후 건강보험료 부과체계 개편방향 253 참고문헌 263 부록 269 [부록 1] 금융소득 및 금융투자소득 관련 현황 269 [부록 2] 보험료 부과소득에 대한 국민 인식도 조사표 275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extent | 303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국민건강보험공단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title | 과세소득별 건강보험료 부과방안 연구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건강보험료 |
dc.subject.keyword | 부과체계 |
dc.subject.keyword | 부과방안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Yeo, Nageum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22-78 |
dc.citation.date | 2022 |
dc.date.dateaccepted | 2023-03-15T01:36:47Z |
dc.date.datesubmitted | 2023-03-15T01:36:47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200186_1_1 |
dc.type.project | 수탁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탁22-089-00]과세소득별 건강보험료 부과방안 연구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서비스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