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Monitoring and task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support polic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ontributor.author진화영
dc.contributor.author오신휘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3-07T07:59:48Z
dc.date.available2023-03-07T07:59:48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898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164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21~2025년)내 임신·출산 관련 정책이 전환된 패러다임에 조응하여 추진되기 위한 모니터링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실효성 있는 추진을 위해 임신·출산 관련 세부 정책의 실천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향후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임신·출산 정책이 실증적 근거를 토대로 수립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21년도 시행계획을 중심으로 임신·출산 영역 주요 사업의 검토 및 정리, 제1~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내에서 사업의 변화 과정 분석,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21년도 중앙 부처 시행계획, 세부 사업별 사업 안내 등의 문헌 내용 분석, 국민 인식 조사 및 심층 면접을 통한 정책의 인지도, 정책 경험과 만족도, 정책 욕구 등의 파악, 정책 담당자 및 전문가 대상 조사와 간담회 등을 통한 사업 목적과 내용의 정합성, 추진 체계의 적절성, 추진 내용의 적정성, 추진 일정의 적시성, 사업 관리 및 점검 등의 적정성, 성과 측정 방식의 적절성 등의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을 통해 도출한 내용이 향후 임신·출산 지원 정책과 이를 포함한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과 같은 저출산 대책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pregnancy and childbirth-related policies in line with the 4t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2021~2025). This study monitors 12 pregnancy and childbirth support policies presented in the 2021 Implementation Plan of the 4t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The questions for monitoring are as follows: Are the objectives of each policy consistent with the 4t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does each policy have a proper system for implementation?; have they established the subject, method, and procedure appropriate for achieving the policy objectives?; are the project details established in connection with the policy objectives, and are the methods effective and efficient to achieve the policy objectives?; is the schedule good enough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in time?; is the implementation progress regularly monitored?; are the performance indicators appropriate to measure the policy objective achievement? To monitor the policies, various opinions were collected from policy consumers, suppliers, and experts, and monitor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s a result of monitoring,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improving medical awareness policy and supporting marriage migrants policy are promoted within the 4t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empirical basi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4t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in the area of ​​pregnancy and childbirth for the 5t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2026~2030).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이론적 배경 21 제1절 인구 정책과 임신·출산 관련 정책 23 제2절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임신·출산 지원 정책 26 제3절 선행 연구 34 제3장 모니터링의 개념과 방법 51 제1절 모니터링의 개념 53 제2절 모니터링의 방법 56 제4장 건강한 임신, 출산 지원 영역 모니터링 65 제1절 건강한 임신 지원(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사업) 67 제2절 고위험 지원 확대(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사업) 77 제3절 임산부, 영아 건강관리: 생애 초기 건강관리 92 제4절 임산부, 영아 건강관리: 산모·신생아 지원 109 제5절 여성 장애인 지원(장애 친화 산부인과 지원사업) 127 제6절 청소년 산모 지원(청소년 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사업) 141 제7절 결혼이민자 지원 152 제5장 수요자 중심의 안전한 난임 지원 강화 영역 모니터링 167 제1절 안전한 시술, 정보제공·상담(난임 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169 제2절 난임치료휴가 확대 189 제6장 의료 서비스 접근성 강화 영역 모니터링 199 제1절 취약지 지원: 분만 취약지 산부인과 설치·운영 201 제2절 취약지 지원: 분만 취약지 지원 재택의료 시범사업 217 제3절 의료 인식 개선 231 제7장 결론 241 제1절 요약 243 제2절 임신·출산 지원 정책 개선 방안 248 참고 문헌 255 부록 265 [부록 I] 국민 인식 조사표 265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8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임신출산 지원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dc.title.alternativeMonitoring and tasks of pregnancy and childbirth support polici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임신·출산 지원 정책
dc.subject.keyword정책 모니터링
dc.subject.keyword건강하고 안전한 임신·출산
dc.subject.keywordpolicy of pregnancy and childbirth support
dc.subject.keywordpolicy monitoring
dc.subject.keywordpregnancy and childbirth of healthy and saf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o-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in, Hwa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Shinhwee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34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34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34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3-07T07:59:48Z
dc.date.datesubmitted2023-03-07T07:59:48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37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2-001-01-01]임신·출산 지원 정책 모니터링 및 과제
dc.subject.kihasa인구변화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1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