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고숙자 |
dc.contributor.author | 이지혜 |
dc.contributor.author | 이영숙 |
dc.contributor.author | 박종서 |
dc.contributor.author | 노대명 |
dc.contributor.author | 함영진 |
dc.contributor.author | 최한수 |
dc.contributor.author | 장익현 |
dc.contributor.author | 정재훈 |
dc.contributor.author | 윤상호 |
dc.contributor.author | 이창우 |
dc.coverage.temporal | 2021-05-14 - 2022-04-30 |
dc.date.accessioned | 2023-03-07T05:26:32Z |
dc.date.available | 2023-03-07T05:26:32Z |
dc.date.issued | 2022 |
dc.identifier.isbn | 9788968278990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163 |
dc.description.abstract | 향후 전개될 인구 변화로 정부의 재정 측면에서는 총인구의 감소 요인도 중요하지만, 연령구조의 불균형 확대가 더 큰 문제라고 볼 수 있다. 연령구조의 불균형 확대는 노동 인력의 수급에 급격한 충격을 줄 수 있으며, 부양비의 증가는 재정수입과 지출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근로 형태가 다변화하여 노동의 형태가 특정 장소에서 이루어지기보다는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유연하게 일할 수 있는 구조로 확대되고 있고, 새로운 형태의 일자리를 통하여 소득 활동을 하는 근로자 비중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에 따라 근로자의 수가 감소하고,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서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전체 근로소득세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보장지출 전망과 사회보장지출 증가 영역을 진단하고, 다양한 사회보장 재원조달 방안을 비교분석하고 적정한 재원조달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외국의 재원조달 방안, 특히 사회보장세 징수방안 등을 검토하여 새로운 재원조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e ratio of public social expenditure to GDP of the 38 OECD countries averages 20%, while Korea remains at 12.2% in 2019, and the fiscal expenditure on social insurance is projected to rise from 8.0% of GDP in 2020 to 22.8% in 2060. This can be attributed to such factors as population aging and maturity of the pension system. The rapidly aging trend in Korean society will generate a significant level of pressure for increase of social welfare spending in the future even if no new welfare programs are intro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ong demand for a universal welfare state, expectations will inevitably rise for the state's role in implementing active fiscal policies. The main point of this issue is who will share the cost. The national taxes will be unavoidably increased as the fiscal expenditures for social security is generally financed through taxes and social insurance contributions rather than through national debt. Fortunately, Korea seems to afford additional increases of income tax, consumption tax, and social insurance premiums. A social security tax in the form of an earmarked tax is needed to finance a sustainable welfare policy. In order to respond to social uncertainty due to changes in economic conditions, continuous discussions should be accompanied on the measures how to secure social security funds with efficiency and intra- and inter-generational equity. If more burden is required by the cost increase in line with the progress of population ag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system and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continuously reviewed and discuss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obtain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the payer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사회보장 지출 및 재원 현황 15 제1절 사회보장 지출 및 국민부담 현황 17 제2절 우리나라의 국민부담률 현황 24 제3절 사회경제구조 변화와 사회복지지출 전망 28 제3장 사회보장 재원의 유형과 쟁점 33 제1절 사회보장 재원의 유형 35 제2절 사회보장 재원별 논의 및 쟁점 49 제3절 사회보장 재원 조달 방안에 대한 최근 논의 60 제4장 주요 국가 사례 분석 69 제1절 프랑스 71 제2절 일본 92 제3절 독일 99 제4절 영국 112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122 제5장 사회보장의 재원 조달 방안: 사회보장세(가칭)를 중심으로 129 제1절 사회보장세 도입 타당성 검토 131 제2절 사회보장세 구성 및 부과방식 138 제3절 사회보장세의 활용 143 제4절 부과방식별 세수 규모 156 제5절 사회보장세 기반 마련을 위한 향후 방향 162 제6장 결 론 183 참고문헌 195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extent | 215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사회보장 재원조달방안 연구 - 사회보장세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social security financing: Focused on social security tax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사회보장세 |
dc.subject.keyword | 목적세 |
dc.subject.keyword | 사회보장지출 |
dc.subject.keyword | 사회보장 재원 |
dc.subject.keyword | 사회보호 |
dc.subject.keyword | 재정 |
dc.subject.keyword | Social security tax |
dc.subject.keyword | Earmarked tax |
dc.subject.keyword | Social expenditure |
dc.subject.keyword | Social security finance |
dc.subject.keyword | Social protectio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o, Sukj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Jihy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Youngsook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Jongse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No, Daemy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am, Youngj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Hyunso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ang, Ikhy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ung, Jae-Hoo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Yoon, Sangh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Changwoo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2.35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2-35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2-35 |
dc.citation.date | 2022 |
dc.date.dateaccepted | 2023-03-07T05:26:32Z |
dc.date.datesubmitted | 2023-03-07T05:26:32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100114_1_1 |
dc.type.project | 연구개발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연개금21-006-00]사회보장 재원조달방안 연구: 사회보장세를 중심으로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