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Socioeconomic impact of cash transfers by local governmen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하솔잎
dc.contributor.author최혜진
dc.contributor.author박소은
dc.contributor.author고제이
dc.contributor.author이진이
dc.contributor.author최환용
dc.contributor.author윤선우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2-24T05:45:12Z
dc.date.available2023-02-24T05:45:12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905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062
dc.description.abstract사회보장에 대한 정부간 역할 정립과 관련하여 그간 연구자들은 급여의 유형이나 수요의 범위 등을 기준으로 그 대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다만 이러한 논의들에 있어 그 실현가능성과 타당성 차원에서는 단순히 재정적 구조 뿐 아니라 법률적, 정치적, 행정적 차원의 관련 이슈들이 함께 검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는 지자체의 사회보장 사업 추진과 확대, 혹은 그 내용을 법적으로 제한하기는 어려우며, 다만 신설변경 협의 제도를 기반으로 중앙사업과 중복되는 사업에 대해 조정을 권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우리의 복지국가(welfare state) 구축에 있어 중앙과 지방정부의 관계, 혹은 복지국가에서 지방정부의 바람직한 역할모델이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공적 급여의 충분성과 형평성에 대한 기준, 혹은 국민적 합의가 존재하지 않는 한, 정부 간 역할 경쟁이나 지자체 현금복지사업 증가가 정치적 이해관계에 의해 가중되는 현상과 그 수준에 대해 적절성을 판단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 간 유사 사회보장사업의 효과성을 엄밀하게 점검하고 그에 따른 사업의 조정을 유도하여 지출의 효율성을 제고해 나가는 작업은 현실적 대안으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As the government's role expanded during the pandemic, social security services have widened rapidly not only by the central government but also by the local governments.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of unconditional cash transfers in response to COVID-19 was an opportunity for the local governments to draw attention as a supplementary role to the central government’s basic social security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In other words, the welfare programs of local governments are increasing as there is a limit what the central government alone can do in resolving the blind spots under the economical impact.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of regional programs where the beneficiaries or the purpose of the project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central government’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such regional welfare programs were effective for the resident’s well-being. We examine the impacts of direct cash transfers by the local governments on residents’ health and 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ies, employment, and perceptions of welfare. As a result, at least, it seems that the local governments’ expenditures for complementary benefits for the national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residents’ health and reducing inequaliti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effect on health improving in the case of overlapped or duplicated programs among the governments, and unconditional cash transfers including COVID-19 stimulus payments. The unconditional cash benefits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olidarity and trust in the local governments, which, however, did not lead to get support for universal welfare. In building the welfare state of our ow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sirabl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sasthe problem is not confined to the financial structures. And it is meaningful as a realistic alternative to strictly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regional programs to induce improvement of efficiency of their expendit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0 제2장 사회보장에 대한 정부간 관계와 역할 13 제1절 정부간 재정관계와 복지지출 15 제2절 규범적 차원의 정부간 관계와 역할 31 제3절 사회보장에서 정부간 관계와 역할에 관한 인식 51 제3장 지역 사회보장사업의 현황 및 효과평가 방안 65 제1절 지역 사회보장사업의 검토 및 유형화 67 제2절 지자체 사회보장사업 효과평가 개요 89 제4장 지자체 현금복지사업의 주민 건강수준에의 영향 95 제1절 배경 및 현황 97 제2절 분석방법 119 제3절 분석 결과 123 제5장 지자체 코로나19 대응 긴급지원사업의 노동시장에의 영향 131 제1절 지자체 코로나19 대응 긴급지원사업의 노동시장에의 영향 133 제2절 분석개요 137 제3절 분석결과 151 제6장 지자체 코로나19 대응 긴급지원사업의 복지인식에의 영향 169 제1절 코로나19 대응 긴급지원사업과 개인의 복지태도 간의 관계 171 제2절 분석개요 178 제3절 분석결과 186 제7장 결론 및 제언 215 제1절 결과 요약 217 제2절 제언 226 참고문헌 229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26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중앙 지방 간 유사 사회보장사업의 효과성 평가
dc.title.alternativeSocioeconomic impact of cash transfers by local government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정책 효과평가
dc.subject.keyword현금복지
dc.subject.keyword긴급재난지원금
dc.subject.keywordCash benefits
dc.subject.keywordCOVID-19 stimulus payments
dc.subject.keywordincome-related health inequalitie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 Solleep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Hye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o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Jay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in Y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wan-yong, Cho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eon-woo, Yoo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41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4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41
dc.citation.date2022
dc.citation.conferenceName하솔잎
dc.date.dateaccepted2023-02-24T05:45:12Z
dc.date.datesubmitted2023-02-24T05:45:12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68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2-014-00]중앙 지방 간 유사 사회보장사업의 효과성 평가
dc.subject.kihasa복지국가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Welfare state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