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Preliminary Study of the Social Trends Monitoring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성아
dc.contributor.author노현주
dc.contributor.author안수란
dc.contributor.author이소영
dc.contributor.author조성은
dc.contributor.author고든솔
dc.contributor.author신영규
dc.coverage.temporal2022-05-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2-20T05:19:53Z
dc.date.available2023-02-20T05:19:53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884-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158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사회정책 전반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체계적인 동향 분석틀에 대한 합의와 주기적인 동향 분석은 비어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지표로 보는 사회정책 성과의 수준 및 격차의 시계열적 궤적을 분석하고, 국제비교 관점에서 현주소를 진단하여, 시의성 있게 생산된 근거를 기반으로 하는 정책 전략 수립과 수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국민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결과, 사회정책 동향 분석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사회정책 다분야별로 전문 인력을 배치하여 합리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ime-series trajectory of the level and gap of social policy performances as indicators, and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comparison, in order to derive a method for preparation of the basis to be produced in a timely mann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we developed a framework for monitoring the social trends. To this end, we reviewed literature, conducted expert surveys twice, and discussed the needs for measurement indicators, usability, and availability of data. Second, using the social policy trends monitoring framework, we analyzed the social policy performances in the fields of health care, income security, social service, population, and general policy conditions. We tried to monitor social trends and policy performances through time series trends over the past 10 years and recent cross-sectional international comparisons. All findings together, our suggestions for conducting the social trends monitoring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conduct trend analysis by sector in order to consider the individual policy conditions unique to each policy field and sufficiency of the analysis. Second, practical efforts are needed to alleviate the restrictions on the various secondary data such as administrative data. Third, where raw data are not produced or access is restricted, it may be desirable to conduct surveys to trace social trends. Fourth,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improve the social trends monitoring framework in order to secure timeliness in response to socio-economic changes. Finally,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by experts in various fields of social polic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12 제2장 선행연구 및 국내외 사례 검토 15 제1절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정의와 범위 17 제2절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사례 24 제3절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의 차별성 32 제3장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틀 개발 35 제1절 분석틀 개발 개요 37 제2절 전문가 조사 결과 분석 38 제3절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틀(안) 57 제4장 보건의료 분야 정책 성과와 동향 63 제1절 건강수준 65 제2절 건강행태 77 제3절 보건의료서비스 이용 및 비용 81 제5장 소득보장 분야 정책 성과와 동향 93 제1절 가계 95 제2절 소득분배 99 제3절 경제활동 109 제4절 정책 수요 및 공급 115 제5절 주거 123 제6장 사회서비스 분야 정책 성과와 동향 127 제1절 사회서비스 수요 129 제2절 사회서비스 공급 142 제7장 인구 분야 정책 성과와 동향 151 제1절 인구(정태·동태) 153 제2절 가구 161 제3절 혼인·출산 166 제4절 돌봄·양육 171 제8장 사회보장 일반 동향 177 제1절 행복·삶의 질 179 제2절 사회인식 184 제3절 사회보장재정 198 제4절 거시지표 207 제9장 결론 및 제언 215 제1절 요약 및 결론 217 제2절 사회정책 동향 분석을 위한 제언 218 참고문헌 225 부록 239 [부록 1] 사회정책 동향 분석틀 개발을 위한 전문가조사표 239 [부록 2] 사회서비스산업 특수분류 체계 253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7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기초연구
dc.title.alternativeA Preliminary Study of the Social Trends Monitoring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정책
dc.subject.keyword동향 분석
dc.subject.keyword정책 성과 모니터링
dc.subject.keywordsocial policy
dc.subject.keywordsocial trends
dc.subject.keywordpolicy monitori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eong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oh, Hyun-j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hn, Sur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o-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Sung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Go, Dun-So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Young-Kyu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20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20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20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2-20T05:19:53Z
dc.date.datesubmitted2023-02-20T05:19:53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138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2-004-00]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기초연구
dc.subject.kihasa복지국가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Welfare state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1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