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The 2022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Descriptive Report

Title
The 2022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Descriptive Report
Alternative Author(s)

Joung, Eunhee ; Shin, Jae-Dong ; Woo, Sunhee ; Ha, Eun-sol ; Kim, Ji-Won ; Park, Na-Young ; Kim, Hyunku ; Lee, Jihye ; Jung, Hae-sik ; Hong, Sungwoon ; Son, Changkyun ; Lee, Bongjoo ; Kahng, Sangkyung ; Park, Jung Min ; Joung, Won Oh ; Kim, Hwasun ; Lim, Eunjeong ; Kim, Gun

Keyword
KOWEPS ; Welfare Needs ; Awareness of Welfare24
Publication Year
2022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cope flexibly with the changes in the people's economic status, consumption expenditures, value judgments, and the status of the economy-wide income distribution, poverty and inequality. However, existing cross-sectional survey data are insufficient for analysis of the socio-economic dynamics because the age and cohort effects are not identifiable.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organized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in 2006.
In 2022, the 17th wave of KOWEPS was carried out. There were three types of questionnaires for the survey: the first was for the households, the second for the household members aged 15 and over, and the third for the particular topics(supplements). The content of KOWEPS is composed of socioeconomic information, welfare status, and attitude toward the welfare or something for individuals and households. The particular topic for this wave is ‘Awareness on Welfare’. In this 17th wave, we completed about 7,865 household samples including both the original and the added new households.


This descriptive report provides a wide variety of content about the general features, the economic conditions, the employment status, social security, welfare needs and the special topics for the 17th-year surveys. The results could be reference data for the researchers who would use KOWEPS.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1
제1절 한국복지패널 구축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한국복지패널 조사 개요 20
제3절 2022년 17차 한국복지패널 조사 수행 결과 23

제2장 표본 특성 및 가중치 조정 29
제1절 조사 개요 및 표본 규모 31
제2절 2022년 추가 패널 표본 설계 36
제3절 17차 조사 표본 특성 및 가중치 조정 47

제3장 조사 내용 및 조사 방법 63
제1절 조사 내용 65
제2절 조사 방법 78

제4장 조사 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경제활동 상태 83
제1절 일반적 특성 85
제2절 경제활동 상태 93

제5장 가구 경제 105
제1절 소득 107
제2절 지출 110
제3절 재산 및 부채 112

제6장 주거 및 건강 117
제1절 주거 119
제2절 건강 125

제7장 가족 131
제1절 가족 관계 133
제2절 가족 문제 134

제8장 생활실태 및 자원 활동 145
제1절 가구 구성원의 생활만족도 147
제2절 가구의 생활 여건 151
제3절 가구 구성원의 기부 및 자원봉사활동 155

제9장 사회보장 157
제1절 사회보험, 개인연금, 퇴직(연)금 159
제2절 공공부조 168
제3절 사회복지 서비스 177

제10장 복지 인식 부가조사 187
제1절 응답자 특성 189
제2절 전반적인 사회적·정치적 인식과 태도 191
제3절 복지 재원 부담에 대한 의견 200

참고문헌 205
부록 207
[부록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경제활동 상태 207
[부록 2] 가구 경제 224
[부록 3] 주거 및 건강 241
[부록 4] 가족 251
[부록 5] 생활실태 및 자원 활동 259
[부록 6] 사회보장 261
[부록 7] 복지 인식 부가조사 279
[부록 8] 2022년 신규 표본 설계 297
[부록 9] 2022년 한국복지패널 조사표 311
Local ID
Research Monographs2022-24
ISBN
978-89-6827-888-4
DOI
10.23060/kihasa.a.2022.24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Income protection > General income protection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