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mographic Changes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신윤정
dc.contributor.author정희선
dc.contributor.author계봉오
dc.contributor.author김영롱
dc.contributor.author최슬기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2-03T06:48:43Z
dc.date.available2023-02-03T06:48:43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875-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12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코로나19가 확산된 시기에 나타난 출생·사망·인구 이동의 변화를 분석하여 코로나19 글로벌 팬데믹이 가져올 인구학적 충격을 파악하고, 심각한 저출산고령화에 직면한 한국 사회가 추진해야 할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코로나19 시기에 나타난 인구 변동 요인의 변화를 파악하고 정책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인구 변화가 한국 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파급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dc.description.abstractThe sever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in Korea are foresee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ustainability of society, and health and welfare policies of Korea. In particular, many changes in Korean society by COVID-19 are likely to amplify the ripple effects of demographic changes, such as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Korea's population fluctuations intensified since COVID-19 are expected to develop into a new phase, so that an in-depth study needs to be conducted on the direction after the spread of COVID-19.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births, deaths, and population mobility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to identify the demographic shock by the global pandemic,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for Korean societ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serious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3절 한국의 코로나19 전개 과정 14 제4절 코로나19 확산 이후 한국의 인구 변동 추이 19 제2장 코로나19 확산 이후 출생 분석 31 제1절 개요 33 제2절 선행연구 34 제3절 코로나19 발생 기간 출생·혼인 분석 42 제4절 소결 86 제3장 코로나19 확산 이후 연애·결혼·출산 의향에 대한 인식 변화 89 제1절 개요 9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92 제3절 코로나19 확산 이후 인식 변화 99 제4절 소결 139 제4장 코로나19 확산 이후 사망 분석 141 제1절 개요 143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44 제3절 코로나19 사망 분석 147 제4절 코로나19 유행 이후 초과사망 분석 158 제5절 소결 187 제5장 코로나19 확산 전후 수도권 유동 인구 이동 변화 분석 189 제1절 개요 191 제2절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의 빅데이터 분석 194 제3절 연구내용, 자료, 방법 195 제4절 코로나19 확산 기간별 수도권 유동 인구 이동 변화 200 제5절 소결 215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19 제1절 연구 결과 종합 및 시사점 221 제2절 향후 정책 제언 225 참고문헌 229 부록 2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6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코로나19 글로벌 팬데믹 진전 시대의 한국 인구 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Demographic Changes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in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코로나19
dc.subject.keyword인구 변동
dc.subject.keyword출생
dc.subject.keyword사망
dc.subject.keyword인구 이동
dc.subject.keywordCOVID-19
dc.subject.keywordDemographic Change
dc.subject.keywordFertility
dc.subject.keywordMortality
dc.subject.keywordMobilit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Yoon-je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Hee-S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ongoh Ky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ung-Long Ki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ung-Long Kim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11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2022-1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2022-11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2-03T06:48:43Z
dc.date.datesubmitted2023-02-03T06:48:43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50_1_1
dc.subject.research인구정책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2-001-07]코로나19 글로벌 팬데믹 진전 시대의 한국 인구 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dc.subject.kihasa인구변화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