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사회경제 여건 변화와 연금 개혁 개관: 주요 제도 변화를 중심으로 133 제1절 지난 20년 동안 OECD 회원국의 사회 여건 변화와 연금정책의 Paradigm 변화 133 제2절 주변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연금 개혁 주요내용 : 연금자동안정장치 개관 145 제3절 연금 개혁으로 인한 노후소득보장 악화에 대한 대응방향: 최저소득보장 유형 147
제3장 OECD 회원국들의 유형별 연금제도 운영 현황 165 제1절 그리스와 이탈리아의 연금제도 운영 현황 165 제2절 일본, 영국, 캐나다의 연금제도 운영 현황 223 제3절 핀란드,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의 연금제도 운영 현황 258
제4장 한국 노동시장의 이중구조와 4차 산업혁명에 대처하기 위한 연금제도 개편 방향 341 제1절 한국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현황에 대한 분석 341 제2절 점진적 퇴직 활성화 방안 378 제3절 4차 산업혁명에 대처하기 위한 연금제도 개편 방향 – 비정형 근로자: 플랫폼 노동자와 특수형태 근로자 중심으로 387 제4절 비정형 근로자 관련 주요 쟁점: 국민연금 지역 가입자로 분류되는 특수형태 근로자 등에 대한 보험료 지원을 통한 사각지대 축소 효과 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