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lives of young people and to suggest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youth policy in the future. In accordance with this purpose, the actual situation of young people in Korea was reviewed with a focus o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nd the status of related policies was reviewed. And demographic change, labor market change, and climate change were set as major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impact of each change on youth life was diagnosed.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future youth policy is presented by synthesizing the above discussion. By examining the policy responsiveness of existing youth policies, we present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that youth policies should adhere to, and suggest specific policy tasks that match them.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의 배경, 필요성과 목적 21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30 제3절 이론적 논의 33
제2장 청년층 삶의 실태와 정책 검토 47 제1절 성인으로의 이행 실태 49 제2절 다차원 빈곤 접근을 통한 청년층 삶의 실태 74 제3절 청년정책 현황 101
제3장 청년층 삶의 환경 변화: 인구구조 변화 111 제1절 인구구조 변화 113 제2절 인구구조 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133 제3절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청년정책의 방향 154
제4장 청년층 삶의 환경 변화: 노동시장 변화 163 제1절 노동시장 변화 165 제2절 노동시장 환경 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171 제3절 노동시장 변화의 영향에 대응하는 청년정책 방향 176
제5장 청년층 삶의 환경 변화: 기후변화 189 제1절 기후변화 191 제2절 기후변화의 사회경제적 영향 209 제3절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청년정책의 방향 227
제6장 삶의 환경 변화에 조응하는 청년정책 방향과 과제 231 제1절 청년층 삶의 환경 변화의 함의 233 제2절 청년정책의 방향 240 제3절 정책과제 2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