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Policy standards for managing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Korean welfare state: A review of fiscal structures and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 management system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고제이
dc.contributor.author이아영
dc.contributor.author하솔잎
dc.contributor.author박소은
dc.contributor.author안영
dc.contributor.author이동진
dc.contributor.author유경원
dc.contributor.author윤홍식
dc.contributor.author황진태
dc.contributor.author이재민
dc.contributor.author박노욱
dc.contributor.author박희대
dc.coverage.temporal2021-01-01 - 2021-12-31
dc.date.accessioned2022-03-31T11:31:36Z
dc.date.available2022-03-31T11:31:36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isbn978-89-6827-809-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9890
dc.description.abstract사회보장의 관점에서 재정위기는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긴축조치에 따라 사회보장 공급불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히 커다란 위협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재정위기는 곧 사회보장 위기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곧 정부 재정운용의 큰 틀에서 사회보장지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한다. 이 연구는 총 3개년에 걸쳐 연차별로 복지국가의 재정경제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확인되는 사회보장 및 재정관리 제도변화에 대한 검토를 통해 사회보장과 관련한 재정적·제도적 위험 요인을 식별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 이에 기초하여 사회보장지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을 마련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보고서는 1차 연도에 수행하는 기초분석으로 한국 복지국가의 형성과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제도적․재정적 위험 요인에 대하여 진단하고, 사회보장지출과 재정위기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더불어 재정여건에 따라 신축적인 조정이 어려운 사회보장지출의 특성상 효율적인 사회보장지출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효율적 사회보장지출 관리수단으로서의 성과평가체계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와 관련하여 제도현황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한계를 진단하고 개선과제를 도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ree-year study is to identify potential risk factors related to the social security system of Korea and to develop policy standards for appropriate management of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s. In this first year of the study, we examined the fiscal status and the future prospects of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s and diagnosed potential risk factors. By using a panel data covering 71 countries, we also analysed how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 and fiscal crises are interrelated.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efficient social expenditure management, Australia’s social security performance evaluation cases were reviewed in depth. And current operations of social security related performance evaluation in Korea were also diagno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제2장 우리나라 사회보장체계 형성과 정부 재정구조의 변화 21 제1절 사회보험 중심 사회보장체계의 성립 개요 23 제2절 사회보장지출과 정부 재정수입 구조의 변화 33 제3절 소결 61 제3장 사회보장체계의 구조적 안정성 진단 65 제1절 부담과 편익 구조의 안정성 67 제2절 중장기 재정적 지속가능성 79 제3절 경제·재정위기에 따른 사회보장 위험 91 제4절 소결 111 제4장 사회보장지출과 재정리스크 115 제1절 재정위기와 재정리스크의 정의 118 제2절 재정리스크 결정요인 123 제3절 실증분석 방법과 데이터 141 제4절 분석결과 149 제5절 소결 162 제5장 사회보장지출 관리수단으로서의 성과평가체계 운영 사례와 시사점 167 제1절 사회보장 지출속성과 성과관리 및 평가의 필요성 170 제2절 호주의 성과예산(Performance Budgeting) 184 제3절 호주 사회서비스부의 성과관리체계 194 제4절 소결 219 제6장 사회보장 성과관리 및 평가제도 개선방향 223 제1절 사전평가제도 현황과 진단 226 제2절 성과관리제도 현황과 진단 257 제3절 소결 275 제7장 결론 291 참고문헌 305 부록 325 [부록 1] 실증분석 추가 표 및 그림 325 [부록 2] 성과지표 현황 336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보장 재정 위기 감지 및 대응을 위한 분석적 기반 연구 - 재정구조 및 관리체계의 현황과 진단
dc.title.alternativePolicy standards for managing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Korean welfare state: A review of fiscal structures and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 management system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보장지출
dc.subject.keyword재정위기
dc.subject.keyword사회보장지출 관리
dc.subject.keyword성과평가
dc.subject.keyword순조세편익
dc.subject.keywordgovernment social spending
dc.subject.keywordfiscal crisis
dc.subject.keywordsocial expenditure management
dc.subject.keywordtax wedge
dc.subject.keywordnet tax burde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Jay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A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 Solleep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o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hn, 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Dong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 Kyeongw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n, Hongsi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Whang, Jint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aim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Nowook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1.12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1-12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1-12
dc.citation.date2021
dc.date.dateaccepted2022-03-31T11:31:36Z
dc.date.datesubmitted2022-03-31T11:31:36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100036_1_1
dc.subject.research미래전략연구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1-015-00]사회보장 재정 위기 감지 및 대응을 위한 분석적 기반 연구
dc.subject.kihasa사회보장재정
dc.subject.kihasa사회보장 계획
KIHASA 주제 분류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financing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planning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