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Changes in the lives and perceptions of the elderly in Korea: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세진
dc.contributor.author이선희
dc.contributor.author남궁은하
dc.contributor.author이윤경
dc.contributor.author백혜연
dc.contributor.author신혜리
dc.contributor.author이상우
dc.coverage.temporal2021-01-01 - 2021-12-31
dc.date.accessioned2022-03-24T08:19:32Z
dc.date.available2022-03-24T08:19:32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isbn978-89-6827-820-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978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노인 집단 내부의 이질성, 다양성에 대한 학문적, 정책적 관심에 입각하여 2004년 이후 한국 노인의 삶의 변화를 전반적으로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노인의 삶에 기반이 되는 건강 및 기능상태, 사회적 관계망, 사회참여 및 경제상태를 중심으로 한 시계열적 양상과 그 기저에 위치한 가치관 변화에 주목하였다. 또한 노인의 삶과 직결되는 주요한 노인복지정책(서비스)을 중심으로 효과성 분석도 수행하였다.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향후 노인복지정책 수립시 노인의 변화된 특성 반영은 물론 노인 집단 내부의 다양성과 이질성에 기초하여야 함을 제언하였다. 아울러 노인을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구성원으로 간주하고 그에 따른 정책 수립이 가능하도록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며, 신규 노인 집단 진입에 대비하여 그들의 다각화된 욕구에 기인한 세분화된 정책 대상자 발굴 및 서비스 연계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overall changes in the elderly’s lives since 2004 in accordance with rapid changes in our society and increasing interest about heterogeneity and diversity within the elderly group. To investigate it, the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was utilized to analyze time-series changes in family and social relations, health status, functional status, social participation status, and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Moreover, future elderly welfare policies were suggested through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depth changes per major areas of liv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elderly welfare policies and elderly’s live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status of the elderly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health status, etc.) has been positively changed over the past 15 years. Seco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life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whole life increased. Third, the difference within the elderly group increased, and the heterogeneity and diversity within the group extended. Fourth, in terms of changes in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and their lives, the resul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licy’s nature and the user’s characteristics. Based on a series of the analysis results, future welfare policy establishment for the elderly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changed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s well as the diversity and heterogeneity within the elderly group. In addition, in preparation for the entry of new elderly groups, including baby boomers, it is necessary to find detailed policy targets and link services due to their diversified nee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한국 사회와 노인의 삶의 변화 19 제1절 한국 사회와 출생시기별 노인의 삶 21 제2절 노인의 일반적 특성 변화 31 제3절 노인의 인식 변화 41 제4절 소결 52 제3장 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관계망 변화 57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59 제2절 가족 및 사회적 관계망의 변화 63 제3절 사회적 관계망 유형 및 유형별 특성 변화 115 제4절 소결 136 제4장 노인의 건강상태 변화 141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143 제2절 노인의 건강상태 변화 양상 151 제3절 소결 186 제5장 노인의 기능상태 및 돌봄자원 변화 191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193 제2절 노인의 기능상태 및 돌봄자원 변화 198 제3절 돌봄자원 영향요인 분석 233 제4절 소결 244 제6장 노인의 사회참여 형태 변화 249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251 제2절 사회참여 형태의 변화 양상 256 제3절 현재의 사회참여 유형과 향후 희망 유형의 변화 289 제4절 사회참여 유형별 특성 300 제5절 소결 322 제7장 노인의 소득 변화 327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329 제2절 소득수준 변화 양상 334 제3절 소득불평등 분석 358 제4절 소결 374 제8장 노인복지정책의 발전과 노인의 삶과의 관계 379 제1절 분석 목적 및 분석 방법 381 제2절 건강 및 돌봄 정책 387 제3절 소득 및 경제활동 정책 400 제4절 사회참여 정책 417 제5절 소결 443 제9장 결론 447 제1절 연구결과 요약 449 제2절 시사점 457 참고문헌 471 부록 4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50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 노인의 삶과 인식 변화 - 노인실태조사 심층분석
dc.title.alternativeChanges in the lives and perceptions of the elderly in Korea: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노인의 삶
dc.subject.keyword인식
dc.subject.keyword다양성
dc.subject.keyword변화
dc.subject.keyword노인실태조사
dc.subject.keywordlives and perceptions of the elderly
dc.subject.keyworddiversity
dc.subject.keywordchange
dc.subject.keyword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e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un H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amkung, Eun H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Yunky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k, Hyeyo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Hye-R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ang-woo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1.23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1-23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1-23
dc.citation.date2021
dc.citation.date2021
dc.date.dateaccepted2022-03-24T08:19:32Z
dc.date.datesubmitted2022-03-24T08:19:32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I
dc.subject.nkisMiddleI3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100022_9_1
dc.subject.research인구정책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1-001-08]한국 노인의 삶과 인식 변화: 노인실태조사 심층분석
dc.subject.kihasa노인복지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KIHASA 주제 분류
Social service > Welfare for older persons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population aging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