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South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곽윤경
dc.contributor.author이병재
dc.contributor.author김기태
dc.contributor.author고민경
dc.contributor.author김경환
dc.contributor.author김규찬
dc.coverage.temporal2021-01-01 - 2021-12-31
dc.date.accessioned2022-03-22T00:12:21Z
dc.date.available2022-03-22T00:12:21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isbn978-89-6827-805-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974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에서는 한국 고등교육기관의 정규과정에 수학하고 있는 아시아 유학생에 초점을 둔다. 즉, 포용적 복지국가를 구현하기 위해, 사회보장의 관점에서 유학생이 직면하는 다층적인 문제를 파악함으로써,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사회권’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유학생 관련 선행연구 및 정책을 검토한 뒤, 해외 유학생 사례를 살펴보았다. 또한, 아시아 유학생을 대상으로 경제활동, 주거, 소득, 건강 등의 영역으로 구성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로 포착되지 않거나 깊게 살펴봐야 할 부분에 대해서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분간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수학하는 동안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으며, 이들이 직면하는 다양한 사회적 위험과 사각지대는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완화 혹은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udents from Asia enrolled in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to draw its policy implications. First, it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link between social rights, welfare state and international students. Second, it examines the trends and pattern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at both a global and domestic level, with its relevant policies and supporting systems. Third, it focuses on the UK’s and Australia’s policy development design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Specifically, it explores how their policies were begun and have undergone changes with the varying impacts of Covid-19 and its related supporting systems. Fourth, specifically designed to target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hina, Vietnam and other Asian countries, the survey aims to find out their current status such as economic activities, income, housing, health, etc. Fifth, it presents the findings obtained from 14 international students from Asian countries. Lastly, from the findings, it draws the main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setu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2 제2장 이론적 배경 27 제1절 사회권의 개념과 토대 29 제2절 복지국가 발전과 사회권 35 제3절 이민자의 사회권 41 제4절 소결 49 제3장 국내·외 유학생 관련 현황과 정책 53 제1절 전 세계의 유학생 이동 현황 55 제2절 국내 외국인 유학생 현황 64 제3절 유학생 관련 정책 76 제4장 해외 외국인 유학생 정책 99 제1절 영국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 101 제2절 호주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 120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39 제5장 양적 분석: 아시아 유학생의 실태 143 제1절 조사 개요 145 제2절 분석 결과 152 제3절 소결 및 정책제언 198 제6장 아시아 유학생 심층 면접 분석 209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문제 제기 2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12 제3절 분석 결과 215 제4절 소결 및 정책 제언 250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57 제1절 결론 259 제2절 정책적 제언 265 참고문헌 281 부록 305 [부록 1] 「외국인 유학생 복지실태조사」 조사표(국·영·중문) 305 [부록 2] 「외국인 유학생 복지실태조사」 기초통계 33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46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포용사회를 위한 외국인 유학생의 복지실태와 사회보장의 과제
dc.title.alternative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South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외국인 유학생
dc.subject.keyword아시아
dc.subject.keyword생활실태
dc.subject.keyword사회보장
dc.subject.keyword사회권
dc.subject.keywordinternational students
dc.subject.keywordforeign students
dc.subject.keywordhigher education
dc.subject.keywordtertiary education
dc.subject.keywordAsia
dc.subject.keywordcurrent status
dc.subject.keywordsocial rights
dc.subject.keywordsocial polic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wak, YoonKy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Byeongj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i-t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yunghaw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1.08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1-0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1-08
dc.citation.date2021
dc.date.dateaccepted2022-03-22T00:12:21Z
dc.date.datesubmitted2022-03-22T00:12:21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100006_1_1
dc.subject.research소득보장정책연구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1-006-00]포용사회를 위한 외국인 유학생의 실태와 사회보장의 과제
dc.subject.kihasa사회통합
dc.identifier.dataportalhttps://www.kihasa.re.kr/dataportal/kor/contents/ContentsList.html?menuId=2010117&rootId=2010001&dtb_year=2021&dtb_subject=%EC%99%B8%EA%B5%AD%EC%9D%B8+%EC%9C%A0%ED%95%99%EC%83%9D+%EB%B3%B5%EC%A7%80%EC%8B%A4%ED%83%9C%EC%A1%B0%EC%82%AC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cohesion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Data Portal

share

qrcode
share
Cited 1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