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대북 제재 국면에서 보건복지 분야의 인도주의적 면제 활용 방안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조성은
dc.date.accessioned2022-03-21T02:23:44Z
dc.date.available2022-03-21T02:23:44Z
dc.date.issued2022-03-21
dc.identifier.issn2092-717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9740
dc.identifier.urihttp://dx.doi.org/10.23064/2022.03.421
dc.description.abstract- 북한에 대한 유엔의 안보리 결의안(UNSCR)에도 불구하고, 인도주의적 목적의 사업에 대해서는 유엔 대북제재위원회(1718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다양한 물품을 지원할 수 있는 제재 면제 통로가 있음. - 2018년 하반기부터 한국 민간단체들이 대북 제재 면제 신청을 시작하여 2021년 말 현재 9건의 승인 사례가 확인됨. 사례를 분석한 결과, 유엔 1718위원회를 설득하기 위한 전략이 현실적으로 중요하며 긴급성과 투명성을 충분히 보여 주었는지에 따라 승인과 불승인에 차이가 있음이 나타남. - 보건복지 분야는 인도주의적 면제 제도를 활용한 남북 교류·협력에서 우선적이며 유효한 영역이므로 이를 통한 한반도 평화 정착 노력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함.
dc.formattext/plain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extent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대북 제재 국면에서 보건복지 분야의 인도주의적 면제 활용 방안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identifier.doi10.23064/2022.03.421
dc.citation.title보건복지 Issue & Focus
dc.citation.titleHealth Welfare Issue & Focus
dc.citation.volume421
dc.citation.date2022-03-21
dc.citation.startPage1
dc.citation.endPage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 Issue & Focus 421호, pp.1-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Welfare Issue & Focus No.421, pp.1-7
dc.date.dateaccepted2022-03-21T02:23:44Z
dc.date.datesubmitted2022-03-21T02:23:44Z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