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박종서 |
dc.contributor.author | 장인수 |
dc.contributor.author | 진화영 |
dc.contributor.author | 이윤경 |
dc.contributor.author | 민연경 |
dc.contributor.author | 정서린 |
dc.contributor.author | 김은숙 |
dc.contributor.author | 민현정 |
dc.contributor.author | 신동훈 |
dc.contributor.author | 류영혜 |
dc.contributor.author | 이재정 |
dc.contributor.author | 서두산 |
dc.contributor.author | 최승호 |
dc.contributor.author | 황명구 |
dc.coverage.temporal | 2021-01-01 - 2021-12-31 |
dc.date.accessioned | 2022-03-08T08:31:26Z |
dc.date.available | 2022-03-08T08:31:26Z |
dc.date.issued | 2021 |
dc.identifier.isbn | 978-89-6827-791-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9664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지역 인구 감소, 인구 고령화 심화에 따른 인구 위기와 대응’이라는 주제를 바탕으로, 5개 지역의 인구 동태를 분석하여 지역의 정책 추진환경을 탐색하고,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의제 발굴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우리나라 17개 시·도의 인구 동태를 규모와 구조 변화 측면에서 살펴본 후, 선정된 지역의 인구 규모를 자연/사회적 변화로 구분하여 지역 인구 동태를 심도 있게 관측하였다. 둘째, 선정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별 인구 동태의 특성과 정책환경 SWOT 분석을 수행하였다. 셋째, 지역 인구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지역 인구정책의 실효성 강화를 위해 중앙정부 및 광역지자체 역할 정립 등 지역별로 향후 연구 및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넷째, 지역별로 제안한 과제를 종합하여 지역 인구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인구 위기에 대한 지역별 특성이 두드러진 지역 인구 동태를 면밀히 관측하여, 지역의 인구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는 인구 위기 지역에 대한 중앙-광역-기초 간 협력 연계 체계를 형성하고, 각각의 역할 정립을 통한 바람직한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자료원의 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추진 방법 6 제2장 지역 인구 동태의 특성과 의미 9 제1절 지역 인구 동태의 주요 특성 11 제2절 지역 인구 동태 관측의 의미 28 제3장 지역별 인구 동태 특성 33 제1절 강원: 강원도여성가족연구원 35 제2절 경북: 경북여성정책개발원 41 제3절 광주전남: 광주전남연구원 75 제4절 부산: 부산복지개발원 105 제5절 충북: 충북연구원 113 제4장 지역별 정책환경 SWOT 분석 125 제1절 강원: 강원도여성가족연구원 127 제2절 경북: 경북여성정책개발원 140 제3절 광주전남: 광주전남연구원 157 제4절 부산: 부산복지개발원 162 제5절 충북: 충북연구원 170 제5장 지역별 향후 연구 및 정책과제 제안 195 제1절 강원: 강원도여성가족연구원 197 제2절 경북: 경북여성정책개발원 200 제3절 광주전남: 광주전남연구원 208 제4절 부산: 부산복지개발원 214 제5절 충북: 충북연구원 236 제6장 종합 및 결론 249 제1절 종합: 지역 인구 변화 주요 특성과 중앙정부 정책 대응 고찰, 향후 정책 방향 251 제2절 차후 연구사항 268 참고문헌 271 부록 281 [부록 1] 세미나별 회의록 281 [부록 2] 종합세미나 발표자료 314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393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저출산고령사회 정책 개발을 위한 국책연구기관 및 지자체 연구기관 협동연구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Jongseo |
dc.type.other | 정책자료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f.2021.01 |
dc.identifier.localId | 정책자료 2021-01 |
dc.identifier.localId | Policy Memos 2021-01 |
dc.citation.date | 2021 |
dc.date.dateaccepted | 2022-03-08T08:31:26Z |
dc.date.datesubmitted | 2022-03-08T08:31:26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일반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100022_12_1 |
dc.subject.research | 인구정책 |
dc.type.project | 일반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일반21-001-11]저출산고령사회 정책 개발을 위한 국책연구기관 및 지자체 연구기관 협동연구 |
dc.subject.kihasa | 저출산대응 |
dc.subject.kihasa | 고령화대응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