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강은나 |
dc.contributor.author | 남궁은하 |
dc.contributor.author | 임정미 |
dc.contributor.author | 노현주 |
dc.coverage.temporal | 2020-08-27 - 2020-12-14 |
dc.date.accessioned | 2021-11-29T09:03:42Z |
dc.date.available | 2021-11-29T09:03:42Z |
dc.date.issued | 2020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8765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 약 1 제1장 서 론 27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9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30 제3절 선행연구 검토 32 제2장 등급판정위원회 현황 37 제1절 등급판정위원회 개요 39 제2절 등급판정위원회 행정자료 분석 44 제3절 국내 유사제도 사례 57 제3장 해외사례 분석 71 제1절 일본 73 제2절 독일 101 제3절 네덜란드 109 제4장 등급판정위원회 운영 실증분석 119 제1절 조사 및 분석 개요 121 제2절 등급판정위원회 위원 조사결과 123 제3절 등급판정위원회 간사 조사결과 166 제4절 초점집단인터뷰 결과 분석 195 제5절 소결 210 제5장 결론 및 제언 215 제1절 주요 연구결과 217 제2절 등급판정위원회 역할 재정립 및 개선과제 220 제3절 심의의결 절차 개선방안 231 제4절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 239 참고문헌 241 부 록 247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application/octet-stream |
dc.format | application/octet-stream |
dc.format.extent | 282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국민건강보험공단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등급판정위원회 운영체계 개선 연구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20-56 |
dc.date.dateaccepted | 2021-11-29T09:03:42Z |
dc.date.datesubmitted | 2021-11-29T09:03:42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000161_1_1 |
dc.subject.research | 인구정책 |
dc.type.project | 수탁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탁20-104-00]등급판정위원회 운영체계 개선 연구 |
dc.subject.kihasa | 노인복지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