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최슬기 |
dc.contributor.author | 김혜윤 |
dc.date.accessioned | 2021-11-22T05:54:01Z |
dc.date.available | 2021-11-22T05:54:01Z |
dc.date.issued | 2021-11-22 |
dc.identifier.issn | 2092-717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8740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4/2021.11.413 |
dc.description.abstract | – 건강정보에 접근하고 이를 이해·활용하는 건강관리 역량인 헬스리터러시(health literacy)는 건강 증진과 건강형평성 달성을 위한 주요 전략 중 하나임. –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20년에 성인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헬스리터러시가 적정 수준인 사람은 29.1%에 불과하여, 상당수가 건강정보에 접근하고 건강정보를 이해·평가·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양질의 건강정보를 쉬운 방법으로 찾을 수 있도록 건강정보 제공 및 전달 체계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 – 국민 건강 수준 제고와 건강형평성 달성을 위해 헬스리터러시를 건강정책의 주요 의제로 설정해야 함.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10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우리나라 성인의 헬스리터러시 현황과 시사점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description.eprintVersion | published |
dc.identifier.doi | 10.23064/2021.11.413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 Issue & Focus |
dc.citation.title | Health Welfare Issue & Focus |
dc.citation.volume | 413 |
dc.citation.date | 2021-11-22 |
dc.citation.startPage | 1 |
dc.citation.endPage | 10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 Issue & Focus 413호, pp.1-10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Welfare Issue & Focus No.413, pp.1-10 |
dc.date.dateaccepted | 2021-11-22T05:54:01Z |
dc.date.datesubmitted | 2021-11-22T05:54:01Z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