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The Youth Labor Marke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함선유
dc.contributor.author이원진
dc.contributor.author김지원
dc.coverage.temporal2021-02-01 - 2021-05-15
dc.date.accessioned2021-08-11T06:23:11Z
dc.date.available2021-08-11T06:23:11Z
dc.date.issued2021
dc.identifier.isbn978-89-6827-788-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81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확산한 2020년 3~12월 사이 우리나라 15~34세의 청년들이 노동시장 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코로나19라는 감염병에 따른 경제위기는 청년층의 주로 종사하고 있는 숙박 및 음식점업과 교육서비스업, 여가 관련서비스업 등의 대면서비스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2020년 3~4월, 12월의 유행기마다 청년층의 고용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2020년 12월경 청년층의 고용률 하락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산업적 요인과 더불어 괜찮은 일자리의 신규 고용이 감소함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학교를 졸업한 이후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는 남성 청년들은 이 시기에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는 대신 노동시장밖에 머물며 취업준비를 이어가는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더불어 청년층 내에서도 성별과 전공, 졸업 후 경과기간에 따라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이 달랐음을 확인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orking life of the youth populat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youth labor market is known as vulnerable to economic downturns and less resilient than any other age group in previous recessions. Using a difference-in-differences framework applied to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microdata,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youth population is more affected by the Covid-19 pandemic than other working-age groups. The employment rates of youth decreased both in the first and the third waves of the pandemic. During the first wave (March to April 2020), face-to-face service sectors, where young workers were widely employed, contributed to decreased youth employment. However, by the third wave (December 2020), the hiring freeze on regular positions led young graduates seeking decent jobs to stay out of the labor market. Among the youth population, mal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graduates who left school 2 to 4 years earlier showed the highest decrease in employment. This study also found that gender differences in reacting to this recession. During the pandemic, while the male youth stayed out of the labor market and invested in human capital such as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hiring exams, the female youth returned to the labor market, actively seeking jobs. This report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youth labor market and policy based on these find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코로나19와 청년노동시장 논의 19 제1절 경제위기와 청년노동시장 19 제2절 우리나라 청년노동시장의 특성 24 제3절 코로나19가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31 제4절 소결 37 제3장 연구 설계와 분석대상의 주요 특성 43 제1절 연구 설계 43 제2절 분석대상의 주요 특성 51 제4장 코로나19로 일하는 청년은 줄었는가? 73 제1절 고용률 73 제2절 일시휴직 89 제3절 소결 99 제5장 코로나19 시기, 일하는 청년은 왜 줄어들었는가? 105 제1절 최근 실직 경험 106 제2절 최근 입직 경험 121 제3절 소결 137 제6장 코로나19로 일하지 않는 청년은 무엇을 하나? 141 제1절 적극적 구직자 142 제2절 비경제활동인구의 규모 154 제3절 비경제활동인구의 평소 활동상태 165 제4절 소결 178 제7장 결론 183 제1절 주요 결과 요약 183 제2절 정책적 함의 187 제3절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 제언 191 참고문헌 193 부록 199 부록 1 주요 기술 통계 및 분석 결과 199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코로나19의 확산과 청년노동시장 변화
dc.title.alternativeThe Youth Labor Marke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코로나19
dc.subject.keyword청년
dc.subject.keyword노동시장
dc.subject.keyword경제위기
dc.subject.keyword이행
dc.subject.keywordCOVID-19
dc.subject.keywordyouth
dc.subject.keywordlabor market
dc.subject.keywordrecession
dc.subject.keywordschool-to-work transiti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m, Suny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Won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wo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수시) 2021-0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Occasional) 2021-06
dc.citation.date2021
dc.date.dateaccepted2021-08-11T06:23:11Z
dc.date.datesubmitted2021-08-11T06:23:11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수시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A
dc.subject.nkisMiddleA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100056_7_1
dc.subject.research소득보장정책연구
dc.type.project수시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수시21-001-06]코로나19 확산과 청년노동시장 변화
dc.subject.kihasa노동연계복지
dc.subject.kihasa미래질병위험
KIHASA 주제 분류
Health care > Future disease risks
Income protection > Welfare-to-work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