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the socio-economic impact of COVID-19 and the effect evaluation of emergency disaster relief funds(local edition)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여유진 |
dc.contributor.author | 김상현 |
dc.contributor.author | 김을식 |
dc.contributor.author | 김양중 |
dc.contributor.author | 남종석 |
dc.contributor.author | 박희석 |
dc.contributor.author | 노승철 |
dc.contributor.author | 최훈 |
dc.contributor.author | 김윤영 |
dc.contributor.author | 이민정 |
dc.contributor.author | 홍성운 |
dc.contributor.author | 이영주 |
dc.contributor.author | 김재신 |
dc.contributor.author | 김유나 |
dc.contributor.author | 강수현 |
dc.contributor.author | 전춘복 |
dc.contributor.author | 김도형 |
dc.coverage.temporal | 2020-10-29 - 2021-05-28 |
dc.date.accessioned | 2021-06-29T04:54:12Z |
dc.date.issued | 2021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964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3 제2절 연구의 주요 내용 및 연구 방법 5 제2장 코로나19의 충격과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 서울시 제1절 들어가며 11 제2절 서울시의 지역 특성과 코로나19에 대한 대응 14 제3절 코로나19가 서울시에 미친 영향과 충격 42 제4절 서울시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 62 제5절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73 참고문헌 76 제3장 코로나19의 충격과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 경기도 제1절 들어가며 81 제2절 경기도의 지역 특성과 코로나19에 대한 대응 85 제3절 코로나19가 경기도에 미친 영향과 충격 104 제4절 경기도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 119 제5절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131 참고문헌 134 제4장 코로나19의 충격과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 충청남도 제1절 들어가며 139 제2절 충청남도의 지역 특성과 코로나19에 대한 대응 141 제3절 코로나19가 충청남도에 미친 영향과 충격 161 제4절 충청남도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 181 제5절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192 참고문헌 199 제5장 코로나19의 충격과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 경상남도 제1절 들어가며 203 제2절 경상남도의 지역 특성과 코로나19에 대한 대응 206 제3절 코로나19가 경상남도에 미친 영향과 충격 238 제4절 경상남도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 264 제5절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284 참고문헌 287 제6장 코로나19의 지역별 영향과 지자체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 제1절 지역 특성과 코로나19의 확산 추이 291 제2절 코로나19 확산이 경제활동과 소득에 미친 영향 295 제3절 지자체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 307 제4절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316 참고문헌 319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제1절 결론 323 제2절 정책적 시사점 328 ■ 부록 331 부록1. 코로나19의 영향과 정부지원의 효과평가 조사 표본설계 331 부록2. 코로나19의 영향과 정부지원의 효과평가 조사 기초분석표 344 부록3. 코로나19의 영향과 정부지원의 효과 평가 조사 설문지 353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extent | 415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dc.title | 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및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 평가 연구(지역편)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f the socio-economic impact of COVID-19 and the effect evaluation of emergency disaster relief funds(local edition)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코로나19 |
dc.subject.keyword | 긴급재난지원금 |
dc.subject.keyword | 정부지원의 효과 평가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Yeo, Eugene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url | https://nrc.re.kr/board.es?mid=a10301000000&bid=0008&act=view&list_no=0&otp_id=OTP_0000000000007264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21-08-02 |
dc.citation.date | 2021 |
dc.embargo.terms | 9999-12-31 |
dc.embargo.liftdate | 9999-12-31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A |
dc.subject.nkisMiddle | A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000190_1_1 |
dc.subject.research | 소득보장정책연구 |
dc.type.project | 수탁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탁20-131-01](공동협정-연구회)코로나19의 사회경제적 영향분석 및 긴급재난지원금의 효과평가 연구 |
dc.subject.kihasa | 미래질병위험 |
dc.subject.kihasa | 공공부조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