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기태 |
dc.contributor.author | 김태완 |
dc.contributor.author | 정세정 |
dc.contributor.author | 이주미 |
dc.contributor.author | 허대원 |
dc.coverage.temporal | 2020-07-24 - 2020-12-24 |
dc.date.accessioned | 2021-06-17T06:32:31Z |
dc.date.available | 2021-06-17T06:32:31Z |
dc.date.issued | 2020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861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 약 1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11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3 제2장 평생교육바우처 사업 현황 15 제1절 평생교육바우처 사업 개요 17 제2절 평생교육바우처 사업 현황 21 제3장 평생교육바우처 사업 대상자 선정 방식 개선을 위한 법적 근거 29 제1절 「사회보장기본법」 및 「사회보장급여법」 검토 31 제2절 현행 복지사업 정보연계 사례 및 근거법령 43 제3절 평생교육바우처 사업의 정보연계 법령 상의 근거 마련 방안 62 제4장 평생교육바우처 사업 자격기준 개선 방안 71 제1절 주요 복지사업의 자격기준 검토 75 제2절 평생교육바우처 사업 선정 기준과 연계 정보 범위 87 제5장 평생교육바우처 사업과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연계 방안 93 제1절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연계정보 현황 95 제2절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정보연계 유형 102 제3절 평생교육바우처 사업의 정보연계 방안 110 제6장 결론 115 참고문헌 123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132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
dc.title | 평생교육바우처 대상자 선정방식 개선 방안 연구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평생교육바우처 |
dc.subject.keyword | 대상자 |
dc.subject.keyword | 정보연계 방식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Ki-tae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20-105 |
dc.citation.date | 2020 |
dc.date.dateaccepted | 2021-06-17T06:32:31Z |
dc.date.datesubmitted | 2021-06-17T06:32:31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A |
dc.subject.nkisMiddle | A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000148_1_1 |
dc.subject.research | null |
dc.type.project | 수탁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탁20-090-00]평생교육바우처 대상자 선정방식 개선 방안 연구 |
dc.subject.kihasa | 노동연계복지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