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전진아 |
dc.contributor.author | 송은솔 |
dc.contributor.author | 김수진 |
dc.contributor.author | 채수미 |
dc.contributor.author | 신정우 |
dc.contributor.author | 최슬기 |
dc.contributor.author | 강효림 |
dc.coverage.temporal | 2020-04-27 - 2020-11-30 |
dc.date.accessioned | 2021-04-14T08:09:27Z |
dc.date.available | 2021-04-14T08:09:27Z |
dc.date.issued | 2020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536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필요성 3 제2절 연구목적 및 내용 6 제2장 WHO의 주요 보건이슈 논의 동향 분석 9 제1절 제13차 General Programme of Work 11 제2절 보편적 건강보장 31 제3절 공중보건위기 54 제4절 건강증진 73 제3장 한-아세안 국제개발협력 논의동향 109 제1절 아세안 개요 111 제2절 K-Health 국제협력 135 제4장 한국의 기여 방안 및 전략 153 제1절 한국의 글로벌 보건분야 기여 현황 155 제2절 한국의 글로벌 보건분야 다자기구 기여 방안 및 전략 164 참고문헌 175 부록 179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198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보건복지부 |
dc.title | 글로벌 보건 이슈 분석을 통한 보건 분야 다자기구에의 효과적 대응방안 마련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보건 이슈 |
dc.subject.keyword | 다자기구 |
dc.subject.keyword | 아세안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un, Jina |
dc.type.other | 정책보고서 |
dc.identifier.url | https://www.prism.go.kr/homepage/asmt/popup/1351000-202000341 |
dc.identifier.localId | 정책보고서 2020-73 |
dc.citation.date | 2020 |
dc.date.dateaccepted | 2021-04-14T08:09:27Z |
dc.date.datesubmitted | 2021-04-14T08:09:27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A |
dc.subject.nkisMiddle | A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000085_1_1 |
dc.subject.research | 보건정책연구 |
dc.type.project | 수탁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탁20-038-00]글로벌 보건 이슈 분석을 통한 보건 분야 다자기구에서의 효과적 대응방안 마련 |
dc.subject.kihasa | 국제사회보장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