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ickness benefits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수진
dc.contributor.author김혜윤
dc.contributor.author김기태
dc.contributor.author김성아
dc.contributor.author이주미
dc.contributor.author남재욱
dc.contributor.author문성현
dc.contributor.author윤상용
dc.coverage.temporal2020-09-10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29T01:57:48Z
dc.date.available2021-03-29T01:57:4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14-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81
dc.description.abstract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대유행으로 아플 때 쉴 수 있는 문화와 이를 위한 권리 보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상병수당 도입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상병수당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관련 제도들과 조정 및 연계가 필요한 지점을 검토함으로써 상병수당 제도의 설계에 있어 고려가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사회보장제도가 사회보험방식에 근거하고 있고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 대해 부조 형식의 조세 기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는 점과 현재 업무 외 상병으로 인한 소득상실의 위험이 보편적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사회보험 방식의 상병수당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적용대상, 급여의 자격요건, 급여기간, 급여수준 등 상병수당 제도의 구체적인 설계에 있어 기존 제도들과의 연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상병수당의 도입과정에서 사회보장제도의 포괄성을 확대하는 방향에서 기존 제도들 또한 일부 개선이 필요할 것이며 상병수당의 도입이 업무 외 상병으로 일을 하기 어려운 노동자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려면 고용보장과의 연계 등 노동법적 접근 또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With the spread of the COVID19, interest in guaranteeing workers' right to rest is increasing, and a social consensus has been formed 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sickness benefits.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of the related systems that are currently performing similar functions to the sickness benefits and what points need to be coordinated and linked with related systems. As for eligibility,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how many vulnerable workers are excluded from the existing social insurance system when sickness benefits are introduced in connection with social insurance, and whether and how sickness benefits system would include them. As for the calculation of insurance premiums, the range of income to include should be determined. For exampl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decides premium by considering not only income based on economic activity but also financial and asset income. It is necessary to decide how to determine income before sick. It would be also related to the level of sickness benefits. As for the level of sickness benefits, the level of sickness benefits and maximum and minimum level of benefits should be decided considering the level of benefits of other social protection syste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8 제2장 개념 및 관련 제도 21 제1절 개념적 고찰 23 제2절 국내 관련 제도 현황 32 제3절 소결 38 제3장 건강보험제도와의 연계 39 제1절 건강보험제도 개요 41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45 제3절 소결 54 제4장 산재보험제도와의 연계 57 제1절 산재보험제도 개요 59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81 제3절 소결 85 제5장 장애연금(국민연금)제도와의 연계 87 제1절 장애연금(국민연금)제도 개요 89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98 제3절 소결 109 제6장 고용보험제도와의 연계 111 제1절 고용보험제도 개요 113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118 제3절 소결 125 제7장 실업부조제도와의 연계 129 제1절 실업부조제도 개요 131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144 제3절 소결 153 제8장 공공부조제도와의 연계 157 제1절 공공부조제도 개요 159 제2절 역할 및 연계 지점 175 제3절 소결 180 제9장 상병수당 도입 시 고려 사항 및 제언 183 제1절 상병수당 도입 시 고려 사항 185 제2절 제언 203 참고문헌 205
dc.formattext/plain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extent22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의 상병수당 도입에 관한 연구 - 제도간 연계와 조정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ickness benefits in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상병수당
dc.subject.keyword상병급여
dc.subject.keyword병가
dc.subject.keyword병가급여
dc.subject.keyword건강보장
dc.subject.keyword소득보장
dc.subject.keyword고용보장
dc.subject.keywordsickness benefits
dc.subject.keywordsickness allowance
dc.subject.keywordsick leave
dc.subject.keywordsick day
dc.subject.keywordsick pay
dc.subject.keywordhealth security
dc.subject.keywordincome security
dc.subject.keywordemployment securit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uji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수시) 2020-09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Occasional) 2020-09
dc.citation.date2020
dc.citation.date2020
dc.citation.date2020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29T01:57:48Z
dc.date.datesubmitted2021-03-29T01:57:48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수시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55_11_1
dc.subject.research보건정책연구
dc.type.project수시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수시20-001-10]한국의 상병수당 도입에 관한 연구-제도간 연계와 조정을 중심으로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안전망
dc.subject.kihasa노동연계복지
KIHASA 주제 분류
Health care > Health care safety net
Income protection > Welfare-to-work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