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Identifying Gap and the Improper spending inOut-of-School-Hours(OSH) Care Servic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강지원
dc.contributor.author최혜진
dc.contributor.author임완섭
dc.contributor.author황안나
dc.contributor.author안영
dc.contributor.author조동훈
dc.contributor.author김우성
dc.coverage.temporal2020-01-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26T07:34:04Z
dc.date.available2021-03-26T07:34:0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73-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63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6년부터 중장기과제로 수행하고 있는 ‘사회보장 분야 사각지대 축소와 부적정지출 관리 방안’연구의 5년차 연구이다. 그동안 우리 원은 사회보장제도의 사각지대와 부적정지출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사회보장모니터링) 틀을 마련하고, 이를 소득보장제도와 사회서비스제도 등에 적용하여 사각지대 해소와 부적정지출 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2020년 연구에서 방과후돌봄서비스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돌봄서비스는 대표적인 다(多)부처 사업으로, 부처별ㆍ사업별 대상 선정 기준이 상이하고 방과후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도 상이하다. 특히 대상 선정 기준과 서비스 이용 시간은 사각지대 이슈와 관련 있으며, 종사자 자격 요건 및 처우, 운영 주체 및 재정지원방식은 지출 효율화와 부적정 지출 관리와 관련 있다. 둘째, 방과후돌봄서비스는 지속적으로 예산이 확대되어 왔으나, 학부모의 요구에 충분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긴급 돌봄의 필요성이 증가했으나 이에 대한 체감도는 낮다. 본 연구에서는 방과후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지역 단위에서 아동의 돌봄 필요 및 돌봄 이용 현황, 방과후돌봄서비스 이용 이력을 DB로 구축하고, 방과후돌봄서비스의 수요를 고려한 공급 계획을 수립하며, 방과후돌봄서비스의 공급 계획과 서비스 질을 관리하는 주체로서 사회서비스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중앙 정부는 지방자치단체의 돌봄 수요에 근거한 공급 계획을 승인하고 이에 따른 재정을 지원하며, 성과 평가에 근거하여 지역별 인센티브를 추가 제공하는 등의 유인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전면적인 변화를 중앙 정부 차원에서 도입하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세종특별자치시를 기준으로 지역 단위의 시범사업(안)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3 제3절 사각지대와 부적정 지출의 통합적 접근 32 제2장 방과후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와 부적정 지출 모니터링 틀 39 제1절 방과후돌봄서비스 현황 41 제2절 방과후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 관리 64 제3절 방과후돌봄서비스의 부적정 지출 관리 75 제4절 방과후돌봄서비스 모니터링 틀 88 제3장 방과후돌봄서비스 실태 95 제1절 조사 개요 97 제2절 방과후 돌봄 현황 98 제3절 방과후돌봄서비스 사각지대와 부적정 지출 인식 126 제4절 방과후돌봄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분석 146 제4장 방과후돌봄서비스 사각지대 모니터링 결과 151 제1절 실태조사를 활용한 사각지대 분석 153 제2절 FGI를 활용한 사각지대 분석 173 제3절 코로나19와 돌봄 공백 183 제4절 초등학생 방과후돌봄서비스 수요 추계 192 제5절 소결 205 제5장 방과후돌봄서비스 부적정 지출 모니터링 결과 209 제1절 실태조사를 활용한 부적정 지출 분석 211 제2절 부적정 지출 관리 제도 분석 결과 225 제3절 소결 240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45 제1절 방과후돌봄서비스의 사각지대 축소 방안 247 제2절 방과후돌봄서비스의 부적정 지출 관리 방안 256 제3절 방과후돌봄서비스 체계 개편 방안 261 참고문헌 281 부록 297 [부록 1] 초점집단심층면접(FGI) 조사 297 [부록 2] 방과후돌봄 실태 및 수요 조사 305 [부록 3] 스웨덴의 방과후돌봄 현황 327 [부록 4] 본 연구에서 수행한 일반적인 복지 사각지대 인식 349 [부록 5] 시간대별 방과후 시간 이용 현황 3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37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보장 분야 사각지대 축소와 부적정 지출 관리 방안 연구 - 방과후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Identifying Gap and the Improper spending inOut-of-School-Hours(OSH) Care Servic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방과후돌봄서비스
dc.subject.keyword사각지대
dc.subject.keyword부적정 지출
dc.subject.keyword사회서비스원
dc.subject.keywordout-of-school care
dc.subject.keywordidentifying gap
dc.subject.keywordimproper spendi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Ji-wo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5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51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26T07:34:04Z
dc.date.datesubmitted2021-03-26T07:34:04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34_1_1
dc.subject.research미래전략연구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0-007-00]사회보장 분야 사각지대 축소와 부적정 지출 관리 방안 연구: 방과후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dc.subject.kihasa사회보장 계획
dc.identifier.dataportalhttps://www.kihasa.re.kr/dataportal/kor/contents/ContentsList.html?menuId=2010117&rootId=2010001&dtb_year=2020&dtb_subject=%EC%B4%88%EB%93%B1%ED%95%99%EC%83%9D+%EB%B0%A9%EA%B3%BC%ED%9B%84+%EB%8F%8C%EB%B4%84+%EC%8B%A4%ED%83%9C+%EB%B0%8F+%EC%88%98%EC%9A%94%EC%A1%B0%EC%82%AC
KIHASA 주제 분류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planning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fertility decline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Data Portal

share

qrcode
share
Cited 4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