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Study on Financial Valuation Indicators for Actuarial Review of the Public Pens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신화연
dc.contributor.author최기홍
dc.contributor.author김종훈
dc.contributor.author신승희
dc.coverage.temporal2020-05-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25T06:25:18Z
dc.date.available2021-03-25T06:25:1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62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58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의 공적연금 특히 국민연금은 4차례 재정계산을 수행하면서 추가적인 재정평가지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공적연금 재정평가에 대한 국내외 사례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도개선안을 반영했을 때와 현재 제도의 재정평가지표와 비교하였다. 캐나다 CPP와 일본 후생연금과 같이 추계기간 말 적립배율로 하여 재정균형을 점검하는 경우에 필요한 보험료 부담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국민연금에 계리적 수지차를 포함한 미적립 연금부채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미적립 부채산출에 있어 개방집단방식에 대한 핵심적인 이론들을 소개하고, 국민연금에 적용하여 시범적으로 재정평가를 시도하였다. 재정평가기간 전반에 걸친 재정상태를 함축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연금부채와 연금부채 대비 자산 비중인 적립률, 세대 간 형평성을 고려할 수 있는 세대별 분석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공적연금 연금부채는 재정평가지표로서의 필요성과 개념 정립, 산출방식 등에 대해서 추가적인 논의와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blic pension, especially the National Pension System, has carried out four financial projections, raising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dditional financial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derived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financial evaluation cases of public pensions in Korea and cases such as the United States, Canada, and Japan. It was compared to the financial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current system when it reflected the proposed improvement of the public pension plan currently under discussion. The necessary contribution rates, such as the Canada CPP and Japan’s employees’ pension insurance, was analyzed if the financial steady-state was maintained at the end of the projection period at the reserve ratio.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applying actuarial balances and unfunded pension obligations to the national pension in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주요 연구내용 13 제2장 우리나라의 공적연금 재정평가 17 제1절 국민연금 재정평가 22 제2절 공무원연금 등 특수직역연금 재정평가 52 제3장 주요국의 공적연금 재정평가 77 제1절 캐나다 CPP(Canada Pension Plan) 80 제2절 일본 후생연금 92 제3절 미국 OASDI(Old-Age, Survivors, and Disability Insurance) 104 제4장 공적연금 재정평가지표 검토 119 제1절 해외사례를 통한 재정평가지표 검토 121 제2절 재정평가지표 적용 기준 126 제3절 재정수지에 근거한 재정평가지표 133 제4절 재정상태를 고려한 재정평가지표 146 제5장 결론과 향후과제 187 제1절 주요 연구결과 189 제2절 결론 및 향후과제 207 참고문헌 211
dc.formattext/plain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extent23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공적연금 재정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n Financial Valuation Indicators for Actuarial Review of the Public Pension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공적연금
dc.subject.keyword재정평가지표
dc.subject.keyword재정목표
dc.subject.keywordpublic pension
dc.subject.keywordfinancial evaluation indicator
dc.subject.keywordfinancial target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Hwa-yeo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40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40
dc.citation.date2020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25T06:25:18Z
dc.date.datesubmitted2021-03-25T06:25:18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7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94_1_1
dc.subject.research미래전략연구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0-006-00]공적연금 재정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연구
dc.subject.kihasa공적연금
dc.subject.kihasa사회보장재정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financing
Income protection > Public pension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share

qrcode
share
Cited 1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