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Study o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North Korea's Welfare Sector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송철종
dc.contributor.author고혜진
dc.contributor.author이은솔
dc.contributor.author조보배
dc.contributor.author문경연
dc.contributor.author이지선
dc.contributor.author정구연
dc.contributor.author모춘흥
dc.contributor.author한기호
dc.coverage.temporal2020-01-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25T05:20:45Z
dc.date.available2021-03-25T05:20:4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44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57
dc.description.abstract이 보고서는 북한이 지속가능한 발전의 측면에서 유엔과 유엔전략계획 2017-2021에 합의한 것에 착안하여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SDG 1(빈곤종식)과 2(기아퇴치) 분야에서 남북한의 교류협력을 논의하였다. 문헌 연구와 통계자료 분석을 통해 북한의 빈곤과 기아에 관한 국내외 연구결과물을 정리하고, 다양한 국내외 자료를 분석하였다. SDG 1과 2를 통해 북한의 빈곤과 기아 현황을 파악해 보고, SDG 1과 2의 세부목표와 지표 분석과 국제비교를 하였다. 그리고 유엔에서 실시했던 여러 성공적인 사업 중 네팔과 미얀마에서 실시했던 사업을 분석하고 북한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DG 관점에서 남북한 교류협력의 시사점과 북한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SDGs의 조화 방안을 탐색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discussed inter-Korea exchange and cooperation from a sustainable development perspective, with reference to North Korea's agreement with the United Nations on the “UN Strategic Framework 2017-2021”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poverty and hunger and targets and indicators of SDG 1 and 2 in North Korea, and put the findings in an international comparison. In addition, we examined some good practice cas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at the UN conducted in Nepal and Myanmar and explored their applicability to North Korea. This study then drew implications for inter-Korea cooperation and suggested what should be done to coordinate SDGs in order to foster sustainable development in North Korea.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grasp the situation of poverty and hunger in North Korea due to the lack of reliable data. Only 3 of the poverty-related SDG 1 indicators and 8 of the hunger-related SDG 2 indicators were collected. The indicators suggest that North Korea, compared to selected other countries, did poorly in terms of poverty and hunger. To help improve its SDG-related indicators, North Korea would require international aid. In order for international aid or programs to succeed in North Korea, it is important how much North Korea is willing to reform through openness to the rest of the world. In addit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North Korea, it explored ways to harmonize the 17 SDGs. Framework and monitoring based on data are necessary for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connection with K-SDGs must also be considered. For this, data construction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s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와 북한의 유엔전략계획 21 제1절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소개 23 제2절 유엔전략계획의 주요 내용 41 제3장 북한의 빈곤 종식(SDG 1) 지표 분석 53 제1절 북한의 빈곤 현황 55 제2절 SDG 1의 세부목표 및 지표 소개 72 제3절 SDG 1의 세부목표가 가지는 함의 80 제4절 SDG 1의 지표 분석 및 국제 비교 94 제5절 소결 103 제4장 북한의 기아 퇴치(SDG 2) 지표 분석 109 제1절 북한의 기아 현황 111 제2절 SDG 2의 세부목표 및 지표 소개 125 제3절 SDG 2의 세부목표가 가지는 함의 133 제4절 SDG 2의 지표 분석 및 국제 비교 149 제5절 소결 172 제5장 유엔의 SDG 사업 수행 사례 177 제1절 유엔의 빈곤과 기아 퇴치 사업 수행 사례 분석 179 제2절 북한에 적용 가능성 검토 210 제6장 북한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추진과 조화 215 제1절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북한의 인식 217 제2절 북한의 SDG 추진 환경 232 제3절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SDG 간 조화 239 제7장 남북한 교류협력에의 시사점 257 제1절 북한 신년사 분석 259 제2절 복지 분야 남북한 교류협력 시사점 269 제8장 결론 283 참고문헌 2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32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북한의 복지 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남북한 교류협력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North Korea's Welfare Sector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지속가능발전목표
dc.subject.keyword유엔전략계획
dc.subject.keyword빈곤
dc.subject.keyword기아
dc.subject.keyword교류협력
dc.subject.keyword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dc.subject.keywordUN strategic framework
dc.subject.keywordpoverty
dc.subject.keywordhunger
dc.subject.keywordexchange and cooper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ng, Cheoljo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3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31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25T05:20:45Z
dc.date.datesubmitted2021-03-25T05:20:45Z
dc.type.research기초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16_1_1
dc.subject.research미래전략연구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0-016-00]북한의 복지 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을 위한 남북한 교류협력 방안 연구
dc.subject.kihasa국제사회보장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2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