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Study on Diagnosis of Income Distribution and Restructuring of Social Security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태완
dc.contributor.author이주미
dc.contributor.author정은희
dc.contributor.author최옥금
dc.contributor.author최유석
dc.contributor.author송치호
dc.contributor.author박은정
dc.contributor.author김보미
dc.coverage.temporal2020-02-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25T04:13:17Z
dc.date.available2021-03-25T04:13:17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35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54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소득분배 및 양극화 현상을 진단하고, 소득 및 고용보장을 중심으로 기존 사회보장제도가 가진 한계를 평가(사각지대 중심) 하였다. 현재 주요한 사회보장제도가 양극화 현상에 대해 적절히 대처했는지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보장제도 사각지대, 정합성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보장 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의 사회보장제도가 외형상 체계는 갖추어져 있지만, 고령화 및 가족구조 변화, 이중 노동시장 구조, 자산 분배 및 자산 불평등의 문제 등으로 소득분배는 악화되고, 여전히 사각지대 문제와 제도 간 연계(정합성) 등에서 논의될 사항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 해소를 위해 연령(생애주기)과 근로 능력을 토대로 한 생애주기별 소득보장제도의 개편을 통해 (가칭)범주형 소득보장제도를 다층적으로 구축함으로써 사각지대와 제도 간 중복문제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근로 연령층(만 65세 미만)의 경우 (가칭)생활보장제도의 도입과 고용서비스 강화를 통해 소득 및 고용 안전망이 강화되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다만, 사회보장제도 강화 및 재구조화를 위해서는 많은 재원이 소요될 것임으로 추가적 세원을 마련할 방안이 함께 제시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has evaluated the income distribution problem faced by Korean society and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ocial security systems, and has analyzed the coherence between the social security systems. The causes of deterioration in distribution in Korea include: first, aging and changes in family structure; second, dual labor market structure; and third, distribution problem due to asset distribution and asset inequality. The size of the no-care zone of the income guarantee system under 30% of the standard median income is 26.3% (2018), which is estimated to be about 400,000 based on the estimated population. It was analyzed that about 7.9 million people with less than 100% of the standard median income did not receive income guarantee benefits. The direction of reorganization of the income security system for each life cycle needs to be reorganized in the form of a categorical income security system based on age (life cycle) and working capacity. It is necessary to minimize no-care zone and overlapping problems by establishing a categorical income guarantee system in multiple layers. In the sense that financial resources are required to restructure social security, a plan for taxation must be presented togeth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5 제3절 기대효과 및 한계 18 제2장 이론적 논의 및 해외사례 19 제1절 복지국가 성과와 재편 21 제2절 해외사례 45 제3장 사회보장제도 현황과 분배 변화 97 제1절 사회보장제도 현황과 문제 99 제2절 한국의 분배 변화 136 제4장 한국의 사회보장제도 진단 151 제1절 현행 사회보장제도 모습과 한계 153 제2절 사회보장 사각지대 진단 156 제3절 제도 간 정합성 평가 173 제5장 사회보장 재구조화 방안 215 제1절 생애주기별 사회보장제도 재구조화 방안 218 제2절 재원마련 방안 234 제6장 결론 239 참고문헌 245
dc.formattext/plain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application/octet-stream
dc.format.extent27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우리나라 소득분배 진단과 사회보장 재구조화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Diagnosis of Income Distribution and Restructuring of Social Security in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소득보장
dc.subject.keyword고용보장
dc.subject.keyword양극화
dc.subject.keyword재구조화
dc.subject.keywordincome security
dc.subject.keywordemployment security
dc.subject.keywordpolarization
dc.subject.keywordrestructuri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2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21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25T04:13:17Z
dc.date.datesubmitted2021-03-25T04:13:17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17_1_2
dc.subject.research포용복지연구단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0-017-00]우리나라 소득분배 진단과 사회보장 재구조화 방안 연구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dc.subject.kihasa사회통합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cohesion
Income protection > General income protection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4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