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unrest
; youth
; social policy
; justice
; socioeconomic class
Publication Year
2020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social unrest among young people in Korea. In particular, we examine the conceptual construct and level of social unrest and factors affecting social unrest. Now in its second year, this study bases its findings on a web-based social survey. The five elements identified that construct the concept of social unrest are: justice, competition and inequality, security, trust in government, adaptation/falling behind. Justice and trust in government are key nods in the network of every elemental questions of social unrest index. Socioeconomic class affects social unrest of young people, especially assets of parents and income of respondents. Research findings support that social gathering could mitigate social unrest and that self-esteem affects social unrest as a parameter.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policy suggestions including building a monitoring system and making changes to youth policies.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연구의 개요 9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1 제2절 연구의 구성과 주요 내용 20 제3절 연구의 방법 23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와 분석틀 27 제1절 분석의 전제: 사회적 불안에 대한 이해 29 제2절 한국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연구와 함의 38 제3절 청·중년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연구와 함의 45 제4절 분석틀과 조사내용의 구성 50 제3장 청·중년 사회적 불안의 수준과 집단 비교 57 제1절 국가 단위 사회적 불안 비교 60 제2절 사회적 불안의 측정과 구조 67 제3절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회적 불안 82 제4절 주요 요인별 사회적 불안 87 제4장 사회적 불안의 설명요인 103 제1절 분석 목적과 방법 105 제2절 사회적 불안의 중심 요소 118 제3절 사회적 불안의 외재적 설명요인 124 제4절 소결 134 제5장 사회경제적 계층과 청ㆍ중년 사회적 불안 137 제1절 분석의 목적과 방법 139 제2절 계층과 사회적 불안의 인지 148 제3절 계층과 영역별 사회적 불안 159 제4절 계층별 생애 경험과 사회적 불안 169 제5절 소결 181 제6장 청·중년 사회적 불안과 대처기제 183 제1절 분석의 목적과 방법 185 제2절 집단별 대처방식과 사회참여 비교 192 제3절 사회적 불안에 대한 대처기제의 영향 209 제4절 소결 227 제7장 결론: 주요 분석 결과와 정책제안 231 제1절 주요 결과와 시사점 233 제2절 사회적 불안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제안 236 참고문헌 251 부록: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 설문지 265
Local ID
Research Monographs 2020-06
ISBN
9788968277191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cohes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pla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