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Study for Improving Health Literac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슬기
dc.contributor.author김혜윤
dc.contributor.author황종남
dc.contributor.author채수미
dc.contributor.author한겨레
dc.contributor.author유지수
dc.contributor.author천희란
dc.coverage.temporal2020-05-01 - 2020-12-31
dc.date.accessioned2021-03-19T01:23:26Z
dc.date.available2021-03-19T01:23:26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isbn978896827738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37301
dc.description.abstract건강정보문해력(헬스리터러시)은 건강증진과 건강 유지를 위하여 정보에 접근하고, 이해하고, 활용하는 개인의 동기와 능력을 규정하는 인지적·사회적 기술로 다양한 건강의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건강정보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은 이 시기에, 건강정보 접근, 이해, 활용과 그로 인한 건강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헬스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국민들의 헬스리터러시 수준은 건강정보의 이해와 건강관리, 건강증진, 적절한 의료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헬스리터러시 수준의 제고를 위해서는 개념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국가적 차원의 헬스리터러시 수준 모니터링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헬스리터러시 취약 계층을 확인하고, 헬스리터러시 격차로 인한 건강형평성 문제 해소를 위한 다분야 협력 및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e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to improve health literacy in Korea. We conducted a scoping review on health literacy research in Korea. We also review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efforts to improve health literacy.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to assess health literacy among 1002 Korean adults aged 19-69. Our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health literacy is associated with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medical service use among Koreans. Although many countries adopt health literacy strategies, such efforts lack in Korea. About 43.3% of survey respondents had limited health literac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document review on international efforts to improve health literacy, and survey results, we suggest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1) developing an official term of health literacy in the Korean language to help stakeholders and the public better understand the comprehensive, multi-dimensional concept, (2) monitoring of the health literacy level among Koreans, and (3) coordinating with government, healthcare sector, academia, etc. to develop intersectoral strategies aiming at improving health literacy as well as achieving health equ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헬스리터러시 연구 동향 15 제1절 헬스리터러시의 개념 17 제2절 헬스리터러시와 건강 31 제3절 국내 헬스리터러시 연구 동향 43 제4절 소결 65 제3장 헬스리터러시 현황 69 제1절 일반 국민의 헬스리터러시 71 제2절 대학(원)생의 코로나 관련 디지털 헬스리터러시 92 제3절 소결 104 제4장 헬스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정책 및 사업 111 제1절 헬스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국내 프로그램 113 제2절 국제기구의 헬스리터러시 제고 전략 123 제3절 주요 국가의 헬스리터러시 관련 정책 및 사업 130 제4절 소결 164 제5장 결론 167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및 시사점 169 제2절 정책 제언 171 참고문헌 185 부 록 217 부록 1 건강정보문해력(헬스리터러시) 및 관련 요인 조사표(일반국민) 217 부록 2 건강정보문해력(헬스리터러시) 및 관련 요인 조사표(대학(원)생) 2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4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건강정보문해력(헬스리터러시) 제고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for Improving Health Literac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헬스리터러시
dc.subject.keyword건강정보
dc.subject.keyword건강증진
dc.subject.keywordhealth literacy
dc.subject.keywordhealth information
dc.subject.keywordhealth promoti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Seul Ki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0-24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0-24
dc.citation.date2020
dc.citation.date2020
dc.date.dateaccepted2021-03-19T01:23:26Z
dc.date.datesubmitted2021-03-19T01:23:26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3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000089_1_2
dc.subject.research보건정책연구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0-001-00]건강정보문해력(헬스리터러시) 제고 방안 연구
dc.subject.kihasa건강증진
dc.identifier.dataportalhttps://www.kihasa.re.kr/dataportal/kor/contents/ContentsList.html?menuId=2010117&rootId=2010001&dtb_year=2020&dtb_subject=%EA%B1%B4%EA%B0%95%EC%A0%95%EB%B3%B4%EB%AC%B8%ED%95%B4%EB%A0%A5+%EB%B0%8F+%EA%B4%80%EB%A0%A8+%EC%9A%94%EC%9D%B8+%EC%A1%B0%EC%82%AC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Health care > Health promotion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Data Portal

share

qrcode
share
Cited 1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