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lation change
; monitoring
; mortality
; fertility
; migration
; population growth
; population structure
Publication Year
2020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This study conducts a comprehensive review of demographic indicators/models and provides the framework for strengthening the demographic evidence base. Firstly, we discus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ceptual framework for demographic monitoring. Secondly, we provide a detailed overview of monitoring for 1) the components of demographic change, such as fertility, mortality, and migration, 2) population growth and structure (composition), 3) regional-level demographic change, and 4) future demographic change. We also review the development and use of demographic models for monitoring demographic change.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emerging issues and challenges in planning and managing monitoring activities.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13 제2장 인구변동 모니터링의 이론적 기초와 기본 구조 21 제1절 인구변동 모니터링의 이론적 기초 23 제2절 인구변동 모니터링의 기본 구조 28 제3장 인구변동 모니터링 자료 구축 35 제1절 인구통계 자료원과 특징 37 제2절 인구통계 자료 구축의 최근 동향과 쟁점 42 제4장 인구변동 요인 모니터링 49 제1절 인구통계 분석을 위한 주요 개념과 측정 51 제2절 인구변동 요인별 모니터링 지표: 의미와 산출 과정 59 제3절 종합 및 소결 192 제5장 인구의 성장과 구성 모니터링 197 제1절 인구변동 요인과 인구의 성장-구성 199 제2절 인구의 성장-구성 지표: 의미와 산출 과정 202 제3절 종합 및 소결 230 제6장 지역사회 인구변동 모니터링 233 제1절 지역사회 인구변동 모니터링의 의미 235 제2절 인구변동 요인 지표의 공간적 분포와 특징 237 제3절 인구의 성장-구성 지표의 공간적 분포와 특징 249 제4절 종합 및 소결 266 제7장 미래 인구변동 모니터링 269 제1절 미래 인구변동 모니터링의 의미와 역할 271 제2절 인구추계 모형의 현황 275 제3절 인구추계와 인구 모멘텀 285 제4절 종합 및 소결 296 제8장 인구통계 모형과 인구변동 모니터링 299 제1절 인구통계 모형의 발전과 활용 현황 301 제2절 인구통계 모형과 인구변동 모니터링 304 제3절 종합 및 소결 340 제9장 인구변동 모니터링 체계 구축과 운영 방향 343 제1절 인구변동 모니터링과 평가 345 제2절 모니터링의 지표의 선정과 생산 형식 349 제3절 모니터링 자료의 수집과 처리 353 제4절 모니터링 주체와 역할 분담 그리고 환류 360 참고문헌 365 부록 387